불타버린 필름 찾으려 해외 수소문…‘장국영 유작’ 재개봉으로 이끈 이 사람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19일 14시 51분


코멘트
21일 한국에서 재개봉하는 ‘이도공간’에서 정신과 의사 짐을 연기한 고 장국영. 엣나인필름 제공
21일 한국에서 재개봉하는 ‘이도공간’에서 정신과 의사 짐을 연기한 고 장국영. 엣나인필름 제공
장국영(중국어 발음 장궈룽·張國榮·1956~2003)은 죽었지만 죽지 않은 배우다. 요절한 스타들 중에서도 유독 장국영은 사후에도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가 젊은 날의 불같은 사랑과 상실의 아픔을 연기한 ‘아비정전’(阿飛正傳·1990년)과 ‘해피투게더’(1997년), 홍콩 느와르의 시작을 알린 ‘영웅본색’ 1편(英雄本色·1986년)과 2편(1987년), 칸 국제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패왕별희’(覇王別姬·1993년) 등 수많은 장국영의 유작들은 재개봉을 통해 관객들을 만나왔다. 매년 그의 기일인 4월 1일에는 홍콩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에서 그를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다. 만우절에 거짓말처럼 세상을 등졌지만 그는 우리 곁에 남아 동시대를 살아가는 배우로 존재해왔다.

●“국영이를 위해”… 왕가위 감독과 정태진 대표의 의기투합
이도공간 재개봉을 추진한 모인그룹 정태진 대표(왼쪽)와 장국영. 정태진 대표 제공
이도공간 재개봉을 추진한 모인그룹 정태진 대표(왼쪽)와 장국영. 정태진 대표 제공
그럼에도 극장에서 볼 수 없었던 그의 유작이 있다. 그가 죽기 전 마지막으로 찍은 영화 ‘이도공간’(異度空間·2002년)이다. 이도공간이 장국영 사망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팬들의 거센 비판을 받자 홍콩 제작사 ‘필름코 픽쳐스’가 마스터(원본) 필름을 모두 불태워버렸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그가 연기한 정신과 의사 짐은 귀신을 보는 여주인공 얀의 상담 치료를 맡고, 얀을 만난 뒤부터 짐은 유년시절 자살한 여자친구의 환영에 쫓긴다. 환영에 시달리던 그는 결국 건물 옥상에서 투신하려 하는데 이 장면이 실제 호텔 옥상에서 투신한 장국영의 마지막 모습을 떠오르게 한다는 팬들의 원망이 쏟아졌고, 역에 몰입했던 장국영이 촬영 후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었다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이 영화는 그의 사망 후 자취를 감췄다.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모인그룹 사무실에서 만난 정태진 대표. 왼쪽 장국영 얼굴이 새겨진 거울은 장국영이 정 대표에게 선물한 ‘금지옥엽’ 기념품.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모인그룹 사무실에서 만난 정태진 대표. 왼쪽 장국영 얼굴이 새겨진 거울은 장국영이 정 대표에게 선물한 ‘금지옥엽’ 기념품. 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
19년 간 어디에서도 볼 수 없었던 이도공간이 21일 한국에서 재개봉한다. 홍콩도 아닌 한국에서 장국영 유작의 재개봉을 이끈 이는 영화사 모인그룹의 정태진 대표(71)다. 1969년 음악 공부를 위해 미국으로 떠난 그는 그곳에서 당대 아시아를 대표했던 고 신상옥 감독, 최은희 배우 부부를 만난다. 홍콩에서도 활동했던 신 감독 부부를 통해 그는 홍콩 배우 겸 제작자인 고 등광영(중국어 발음 덩광룽·鄧光榮)과 인연을 맺었고, 등광영이 정 대표에게 아비정전 촬영을 마친 장국영을, 장국영은 왕가위(중국어 발음 왕자웨이·王家衛) 감독을 소개했다. 이후 왕 감독과 막역한 사이가 된 정 대표는 해피투게더와 ‘화양연화’의 공동제작자로 참여했고, ‘극도추종’을 시작으로 ‘첨밀밀’ ‘야반가성’ ‘영웅’ 등을 한국에 수입하며 한국에서의 홍콩영화 전성기를 이끌었다.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역삼동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이도공간의 재개봉도 왕가위 감독과 전화를 하다가 나온 이야기였다”고 입을 열었다.

“가위와는 매일 위챗(중국판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주고받고, 일주일에 두 세 번씩 전화를 해요. 올해 1월 ‘올해가 국영이의 18주기인데 기일에 맞춰서 뭘 할까’ 이야기하다가 가위가 국영이의 마지막 작품 이도공간 재개봉을 추진해보면 어떻겠냐고 제안하더군요.”

●원본 필름 불탄 ‘이도공간’ 찾으려 해외 수소문
엣나인필름 제공
엣나인필름 제공
마스터 필름이 사라진 영화의 재개봉을 추진하는 것은 말 그대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작업이었다. 정 태표가 처음 연락을 취한 필름코 픽쳐스에서는 “원본이 없어서 재개봉은 불가능하다”는 답이 돌아왔다. 시작부터 막히자 정 대표도 애초엔 포기하려 했다. 하지만 “‘TJ, 우리 한 번 찾아보자’라는 왕가위 감독의 말에 세계 어딘가에 남아 있을 이도공간 영상을 뒤지기 시작했다.” TJ는 정 대표 이름의 이니셜로, 왕 감독과 장국영은 그를 TJ라 불렀다.

정 대표와 왕 감독의 고집에 정 대표의 30년 지기 친구인 필름코 픽쳐스의 총괄 관리자 도미닉 입도 발 벗고 나섰다. 입은 당시 이도공간을 수입했던 해외 바이어들에게 연락해 필름이 남아있는지 수소문한 끝에 일본과 인도에 베타캠 비디오가 남아있는 것을 확인했다. 모인그룹과 배급을 맡은 엣나인필름은 홍콩과 인도, 일본에서 베타캠 비디오를 받아 각 비디오에서 상태가 좋은 부분들을 골라내 합쳤다. 이후 극장 상영이 가능한 디지털 포맷으로 영상을 변환하는 DCP(Digital Cinema Package)를 진행했다. 2003년 개봉 당시 한국어 자막은 어색한 부분이 있어 번역작업도 다시 했다.

“제작사에 로열티만 주고 판권을 사서 재개봉하는 게 아니잖아요. 영상부터 예고편, 포스터, 스틸컷 제작과 번역까지 다 새로 해야 했는데 집념이 없었다면 어떻게 가능했겠어요. 굿즈를 만드는 데에만 1000만원이 들었고, 재개봉에는 총 1억 원이 넘게 들었어요. 돈을 벌겠다는 목적이었다면 절대 안했겠죠. 가위와 저, 엣나인필름 식구들, ‘장국영사랑’ 팬클럽 분들이 하나가 돼서 ‘한 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뭉쳤기에 가능했습니다.”

●‘싫어하래야 싫어할 수 없었던 사람’ 장국영
엣나인필름 제공
엣나인필름 제공
정 대표의 말대로 이도공간의 재개봉은 장국영을 잊지 못하는 이들의 염원이 모인 결과물이다. 1999년 창설된 팬클럽 ‘장국영사랑’ 회원들은 어느덧 50~60대에 접어들었고, 누군가의 엄마와 아내가 됐지만 장국영을 향한 마음은 22년 전과 똑같다. 이들은 이도공간 개봉을 앞두고 장국영이 국내에서 광고한 ‘to you’ 초콜릿부터 이도공간에서 장국영이 여주인공에게 건넨 밀크캔디, 이도공간 속 그의 얼굴이 담긴 10장의 포토카드까지 세심한 정성이 들어간 ‘굿즈’(기념품) 제작에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냈고, 십시일반으로 돈을 보탰다. 아직도 장국영이 여러 사람들의 가슴 속에 살아 숨쉬는 이유에 대해 정 대표는 “좋은 배우이기 이전에 좋은 사람이었기 때문”이라는 답을 줬다.

장국영 팬클럽 ‘장국영사랑’이 이도공간 재개봉을 기념해 제작한 화보와 포스터, 포토카드.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장국영 팬클럽 ‘장국영사랑’이 이도공간 재개봉을 기념해 제작한 화보와 포스터, 포토카드.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장국영을 알면 싫어하래야 싫어할 수가 없어요. 스타라고 재는 것 없는, 인간적인 사람이었죠. 피해를 보면서까지 자기 것 다 퍼줬고, 불만이 있어도 남에게 싫은 소리 한 번 못했어요. 그러다 힘들면 ‘TJ, 어깨 좀 빌려줘요’ 하고 기대어 있다가 아기처럼 새근새근 잠드는 사랑스러운 사람이었어요. 그를 만난 팬들도 ‘남자나 배우로서보다 인간 장국영이 좋아 못 잊는다’고 해요. 그래서 전 그의 마지막 영화를 만들었다는 것 하나에 만족해요. 국영이도 하늘에서 좋아하겠죠?”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