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버티면 대통령이 해임을” 비주류 박용진도 “징계 불가피”
직무배제→사퇴요구→국조 제기
당정청 역할분담 교감 관측도

25일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윤석열 성토의 장’이었다. 이 대표를 포함해 회의에 참석한 9명의 최고위원 가운데 6명이 윤 총장을 향해 릴레이로 거친 발언을 쏟아냈다. 윤 총장에 대한 직무정지 조치를 내린 추 장관에게 힘을 실어주고, 특히 직무배제 사유 중 ‘판사 사찰 의혹’을 집중 부각시켜 검찰개혁의 당위성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이 대표는 “조직적 사찰을 의심받기에 충분하다” “시대착오적이고 위험천만” “진상을 규명하고 뿌리를 뽑아야겠다” 등 평소보다 강한 표현으로 윤 총장을 비판했다. “문제의 심각성을 검찰이 아직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냈다”고도 했다. 김태년 원내대표 역시 “행정부 소속인 검찰이 사법부를 불법적으로 사찰했다는 것을 도대체 어떻게 용납하겠냐”며 “국기 문란”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국정조사나 특별수사를 통해 진상을 철저히 밝힐 일”이라고 덧붙였다.
- 집단반발 檢… 평검사들 회의, 몰아치는 추미애… 대검 압수수색
- 김종인 “나라꼴 우스워져… 대통령은 왜 말이 없나”
- 與 조응천 “윤석열 배제하면 정의 바로 서나” 추미애 비판
- 고검장들도 대책 논의… 심야회동은 연기
- 윤석열, 직무배제 하루 만에 ‘집행정지신청’ 심야 전자 접수
- 반발 검사들 “윤석열 징계청구 위법… 침묵하면 국민 앞에 죄 짓는 것”
- 현직 판사 “재판부 사찰 의혹, 책임자 고발해야”
- ‘울산선거 개입’ 靑참모 공소장 초안 있는데 중앙지검 새 수사팀, 석달째 기소결정 보류
- ‘판사사찰 의혹’ 문건 작성 PC 포렌식… 해당 검사 “정상적 업무”
- 참여연대 “추미애-윤석열 갈등, 대통령 뒷짐 납득안돼”
- 김종빈 “있을 수 없는 일” 김수남 “유신때 연상”
추 장관의 ‘윤 총장 직무배제’ 발표 직후 이어진 여당 대표의 자진사퇴 요구, 다음 날 다시 여당 대표의 이례적인 국정조사 요구까지 제기되면서 청와대와 여당, 추 장관 사이에 역할 분담을 위한 모종의 교감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추 장관의 발표 직전 관련 내용을 미리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민주당의 국정조사 주장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그리 높지 않다는 전망도 나온다. 당장 범진보 진영에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의당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불이 났으면 불을 꺼야지 국정조사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민주당이 국정조사 카드를 꺼내든 것을 두고 윤 총장의 자진 사퇴를 유도하기 위한 압박 차원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국정조사까지 가기 전에 윤 총장이 결단해 달라는 메시지로 보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일각에선 민주당의 공세가 내년 4월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 2022년 차기 대선을 앞두고 여권 지지층을 결집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여기에는 윤 총장이 최근 야권 차기 대선 주자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도 고려했을 것으로 보인다. 여권 관계자는 “이제 정권과 윤 총장은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건넜다. 여기서 밀리면 정권 차원의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은택 nabi@donga.com·최혜령 기자
교수단체 “부산대, 왜 조국 딸 ‘입학 취소’ 규정 안 따르나”
[박제균 칼럼]대통령에게도 겨울이 오고 있다
오신환 “고민정 文이 가르쳤나?…이런 저질 정치인 처음”
[단독]백운규 전장관 檢출석…‘원전평가 조작’ 조사받아
‘北 김정은 금고지기’ 사위 2019년 망명해 한국서 살고 있다
美, 기존 대북정책 폐기 공식화… 靑 “트럼프 성과 계승”과 배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