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동서남북]“4차례 이어진 ‘부산 금융악몽’… 땜질처방은 그만”

  • Array
  • 입력 2011년 2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조용휘 기자
조용휘 기자
저축은행 사태가 일주일째로 접어들면서 진정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서민경제에 직격탄을 날린 후유증으로 부산 경제가 몸살을 앓고 있다. 부산이 금융 중심도시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 경제구조를 다시 짜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부산발 저축은행 사태는 부산저축은행과 부산2저축은행이 17일과 19일 잇달아 6개월 영업정지를 받으면서 시작됐다. 이후 매일 예금자 수백 명이 각 영업점으로 몰려가 “내 돈 내놔라”며 소동을 벌였다. 정상영업 중인 저축은행에도 불똥이 튀었다. 집단 예금인출 사태(뱅크 런)는 진정됐지만 불안감은 여전하다.

저축은행중앙회 부산지부에 따르면 1월 말 현재 부산에 본사를 둔 12개 저축은행 고객 수는 59만3800명, 총 수신액은 11조4338억 원. 부산시민 6명 중 1명이 저축은행 고객인 셈. 영업정지를 받은 두 저축은행 고객 수는 26만7800여 명, 이들이 맡긴 돈은 6조584억 원에 이른다. 이 중 80% 정도는 원금과 이자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최소 6개월은 돈이 묶일 수밖에 없다. 서민들은 당장 필요한 돈을 마련할 방법이 마땅찮다.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들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다른 금융기관에서 긴급자금을 빌려준다고 하지만 절차도 있고 이자도 물어야 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과 허남식 부산시장은 22일 “안심하라. 저축은행에 돈을 맡겨야 부산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며 부산의 한 저축은행에 각각 2000만 원을 맡겼다. 하지만 이런 설득만으로 시장 안정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응급처방에 불과할 뿐이다. 1999년 삼부파이낸스 사태로 시작된 부산 금융사고 악몽이 4차례 이어지면서 서민들은 ‘또 당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번 일도 부실한 감독과 왜곡된 금융정책, 허약한 지역경제 구조가 빚어낸 ‘총체적인 인재(人災)’라는 분석이 나온다. 근본적인 제도 정비와 금융 감독기능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큰 이유다. 이번만은 금융당국과 부산시, 지역 정치권이 서민의 절규를 가슴 깊이 새겨 금융사고 재발을 막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