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부동산에 요동친 文 지지율…‘40%’ 콘크리트 지지 확인

  • 뉴스1
  • 입력 2020년 9월 30일 13시 35분


코멘트
© 뉴스1
© 뉴스1
올 한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부동산 문제로 인해 요동쳤다.

인천국제공항공사 보안요원의 정규직 전환 논란과 집값 폭등에 따른 부동산 정책 실패 논란 등으로 인해 한때 지난해 조국 전 법무부장관 사태 때와 같은 역대 최저치까지 떨어지기도 했지만, 40%대 중반은 공고히 지켜냈다.

임기 4년차인 문 대통령의 지지율만 놓고 보면 4년차에 레임덕 위기를 맞았던 역대 대통령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평가다.

30일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갤럽’에 따르면, 올해 처음으로 조사했던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직무수행 긍정률, 1월2주차)은 47%였다. 부정평가는 43%였고,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그러나 1월20일 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나온 이후 확산세가 가팔라지면서 문 대통령의 직무긍정률은 1월5주차 조사에서 41%(부정 50%)로 급락하는 등 위기를 맞이했다.

특히 당시만 해도 중국 우한 지역에서 코로나 발생으로 중국발 입국자를 전면 제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음에도 문 대통령과 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정부 대처가 미흡하다는 야당의 공세에 시달렸다. 실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부정평가 이유로 ‘코로나19 대처 미흡’(5%)을 꼽기도 했다.

코로나로 인해 국내 첫 사망자가 발생했던 지난 2월20일 아카데미 4관왕 대기록을 세운 ‘기생충’ 봉준호 감독 등을 청와대로 불러 ‘짜파구리’ 오찬을 함께하면서 웃고 있던 장면이 언론에 보도되고, ‘마스크 대란’까지 이어지면서 민심이 악화되기도 했다. 이로 인해 일각에선 문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율인 40%가 무너져 30%대로 주저앉지 않겠느냐는 비관적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전대미문의 코로나 위기 속에서 문 대통령 적극적 대응은 오히려 반전의 계기가 됐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가 급격히 확산된 2월초 감염병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는 등 코로나19 방역의 전면에 나섰다. 코로나 사태 초기 코로나19가 집단 발병했던 대구를 직접 찾아가 방역 관계자와 의료진 등을 격려했다.

외국인 입국 논란과 관련해서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결단하면서 국민들의 이해를 직접 구했고, 마스크 대란은 ‘5부제’를 시행하면서 수습했다.

이 사이 코로나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됐고,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3월11일(현지시간) 코로나 팬데믹(pandemic·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했다. 한국은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통한 성공적인 방역으로 코로나 확진자 수가 급감하기 시작했지만, 미국과 유럽 등은 코로나 대처에 허둥지둥했다. 이에 이른바 ‘K-방역’에 대한 외신들의 호평이 쏟아졌다.

코로나19에 대한 우리 정부의 성공적 방역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급격하게 끌어올렸다. 3월초까지 40% 초반대에 머물던 문 대통령의 직무긍정률(부정 49%)은 3월 둘째주 49%(부정 45%)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해 3월 넷째주 55%(부정 39%), 4월 넷째주 62%(부정 30%), 5월 첫째주에 71%(부정 21%)로까지 치솟았다. 이같은 문 대통령 지지율은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더불어시민당 포함)이 ‘180석’이라는 압도적 승리를 거두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71%로 고점을 찍은 이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하락세를 탔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둘러싼 논란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 성추행 사건,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 및 사망, 인천국제공항공사 보안요원의 정규직 전환 논란, 대북전단(삐라) 살포를 문제삼은 북한의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악재가 줄줄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부동산 문제는 문 대통령의 지지율에 직격탄이 됐다. 정부가 갭투자 차단을 위한 강력한 대출규제 내용이 담긴 6·17 부동산대책을 발표했지만 집값은 좀처럼 잡히지 않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청와대내 다주택자의 주택 처분 과정에서 각종 잡음이 터져 나오면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8월2주차에 역대 최저치인 39%(부정 53%)까지 추락했다. 39% 지지율은 지난해 10월 조국 전 장관 사태 때 기록한 이후 10개월 만이었다.

직전 고점(71%)을 찍은 지 3달여만에 32%의 지지율이 순식간에 사라진 것이어서 당시 청와대 등 여권의 충격도 상당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의 지지율을 곧바로 반등했다.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담임목사 등 극우 진영의 8·15 광복절 당시 광화문 집회로 인해 코로나19 재확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졌고, 정부의 적극적 방역 대응과 시위에 참여했던 극우 진영에 대한 국민적 반감이 겹쳐지면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8월3주차에 47%(부정 45%)로 수직상승했다. 이후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 아들의 군복무 특혜 의혹이 정국을 휩쓸었음에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45% 안팎을 유지했다.

정치권에선 친인척이나 측근 비리 등 문 대통령과 직결된 사안 등이 발생하지 않는 이상 문 대통령의 콘크리트 지지율인 ‘40%’가 좀처럼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최진 대통령리더십 연구원장은 이날 뉴스1과 통화에서 “40%는 문 대통령의 철근 콘크리트 지지율로 자리잡은 것 같다”며 “추 전 장관 아들 문제도 큰 영향을 못 미친 것을 보면 진천동지할 사건·사고가 발생하지 않고선 큰 변동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민심이 과거와는 많이 변화했다. 민생 문제가 아닌 이상은 여야를 양비론으로 보는 게 현재의 민심”이라며 “친인척 비리 등 문 대통령과 직결되는 문제가 나오거나 하지 않는 이상 문 대통령은 집권후반기에 레임덕이 찾아왔던 역대 대통령들과 달리 레임덕이 없는 최초의 대통령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컨설턴트 업체인 스토리채움의 강상우 대표도 “문재인정부 자체가 촛불혁명을 통해 집권한 것이기 때문에 문 대통령에게 투표했던 국민들은 자신들의 지지를 지키려는 의지가 있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쉽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면서 “다만 부동산 등 국민의 삶과 직결되는 민생 문제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짚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