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무산된 김정은 답방…11월 부산서 성사 가능성은

  • 뉴스1
  • 입력 2019년 9월 24일 15시 57분


코멘트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평양공동선언서에 서명한 뒤 들어보이고 있다. © News1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평양공동선언서에 서명한 뒤 들어보이고 있다. © News1
청와대가 20일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의 싱가포르와 파푸아뉴기니 순방 B컷을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아세안 갈라 만찬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청와대 제공) © News1
청와대가 20일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의 싱가포르와 파푸아뉴기니 순방 B컷을 공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아세안 갈라 만찬에서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청와대 제공) © News1
국가정보원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11월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지난해 무산됐던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이 올해 ‘부산답방’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모인다. 청와대와 국정원은 비핵화 협상 진전 여부에 따라 달려있다는 입장이다.

국가정보원은 24일 서훈 국정원장이 참석한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 위원장의 답방 가능성에 대해 “비핵화 협상 진행이 어떻게 되는지에 따라서 부산에 오지 않겠나”라고 밝혔다고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이 전했다.

이 의원이 언급한 ‘부산’은 오는 11월 25~27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를 의미한다.

청와대도 그동안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을 초청하는 방안은 북미 관계의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을 100여일 앞둔 지난달 “(김 위원장이) 참여할 여부에, 또는 우리가 초청하는 여부에 대해서는 북미 관계의 진전에 달려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위원장의 답방은 지난해 9월 평양에서 열린 3차 남북정상회담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초청에 따라 가까운 시일 내로 서울을 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평양에서 돌아온 후 대국민 보고를 통해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남북정상회담의 정례화라는 의미와 함께 남북이 본격적으로 서로 오가는 시대를 연다는 의미를 갖는다”라며 “여유를 두기 위해서 시기를 ‘가까운 시일 내’라고 표현했지만 가급적 올해 안에 방문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말까지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한 기대감은 높아져 갔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2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후 ‘기내 간담회’에서 “연내 답방은 그냥 가능성이 열려있다. 그렇게 답을 드리겠다”라며 “답방은 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있는 문제다. 답방 여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지난해 말 문 대통령에 친서를 보내 서울 방문이 무산된 것에 대해 아쉬움을 전하면서 끝내 무산됐다.

청와대는 지난해 12월30일 김 위원장이 친서를 보내 “두 정상이 평양에서 합의한 대로 올해 서울 방문이 실현되기를 고대했으나 이뤄지지 못한 것을 못내 아쉬워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앞으로 상황을 주시하면서 서울을 방문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나타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문제는 해를 넘겼고, 2차 북미정상회담 이후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을 가능하게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월10일 신년기자회견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이 먼저 이뤄지고 나면 그 이후에 김 위원장의 답방은 좀 더 순조롭게 추진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정상회담이 결렬되면서 김 위원장의 서울답방 역시 안갯속이었다. 북미 간 단절된 대화를 복구하는 것이 우선이었던 것이다.

김 위원장의 답방에 대한 기대감이 부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로 이어진 것은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제안이었다.

조코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지난해 11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북한이 함께 특별정상회의에 참석하게 되면 의미가 더 살아날 것”이라며 “이러한 노력이 가시화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고, 이에 문 대통령은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한 바 있다.

역사상 첫 북한 최고지도자의 남한 방문이라는 ‘빅 이벤트’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상징성이 크다. 지난해 6월 1차 북미정상회담(싱가포르)과 지난 2월 2차 북미정상회담(베트남 하노이) 모두 아세안에서 개최된 만큼 김 위원장의 첫번째 국제외교 무대로 손색이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최대 국제행사인 점, 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인 점도 의미가 있다. 문 대통령은 9월 첫째주 아세안 3국(태국·미얀마·라오스) 순방을 끝으로 임기 내 아세안 10개국 모두 방문을 완료하며 11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다만 이는 청와대와 국정원이 전제한 대로 ‘북미 관계’의 진전이 있을 때 가능한 시나리오다. 현재 가장 집중해야 하는 것은 북미 대화의 재개이며, 11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 전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돼 비핵화 협상이 진전될 경우 논의가 가능할 전망이다.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정원이 이날 “2~3주 안에 (북미 간) 실무협상 가능성이 높으며, 합의가 도출될 경우 연내에도 (북미)정상회담 추진이 가능하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