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신당논의 새 기류]통합신당-리모델링 접점 찾을까

  • 입력 2003년 7월 31일 18시 37분


코멘트
민주당 주류측 지도부가 ‘당 밖 개혁신당 세력과의 연대’ 포기 가능성을 내비치며 ‘통합신당’ 성사에 전력투구하고 있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당 반대, 민주당 유지 리모델링’을 주장해온 비주류가 주류의 이 같은 방향 선회를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서는 양자가 극적인 타협을 할 수도 있다는 희망 섞인 관측도 나오고 있다.

▽표면상 접근-대화 무드=정대철(鄭大哲) 대표뿐만 아니라 김원기(金元基) 고문도 ‘개혁연대 등 바깥사람과 만날 필요 있느냐’고 말하는 등 그동안 신당의 주요 기반으로 간주해온 외부 신당추진 세력과 선을 긋고 나선 것이 비주류와의 대화무드에 촉진제가 되고 있다.

그동안 비주류는 신당파가 개혁연대 등 외부세력을 신당의 모태로 삼기 위해 민주당을 해체하려 한다는 의심을 해왔다. 실제로 신당파 중 일부 386그룹이나 강경개혁 세력은 선도 탈당 등을 주장하며 외부세력과의 연대를 주장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김 고문의 ‘외부 연대 중지’ 선언으로 신당 구상은 근본적인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외부 연대보다는 민주당 중심의 신당을 만들겠다는 구상이 분명해졌기 때문이다.

정 대표나 김 고문과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이낙연(李洛淵) 대표비서실장은 “실제 국면이 완전히 변했다. 개혁세력과의 연대에 무게를 뒀던 ‘개혁신당론’은 폐기된 지 오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노심(盧心)은 소수도 불사하는 개혁신당’이라는 관측이 제기되는 데 대해서도 이 실장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과거엔 어땠는지 몰라도 지금은 통합신당 쪽인 게 분명하다”고 단언했다.

비주류측 정균환(鄭均桓) 총무도 “이제야 논의가 좀 현실적으로 되는 것 같다. 총선 승리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니까 현실적 토론이 되고 있다”고 말해 ‘민주당을 깨서는 안된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대가 이뤄진 것이 아니냐는 자신감을 보이기도 했다.

당내에서는 최근 굿모닝게이트 수사와 개혁신당 논의 저변에는 세대교체와 정치권 물갈이를 노린 386참모그룹과 일부 강경개혁그룹의 ‘음모’가 작용하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주류측 중진과 비주류가 일종의 동류의식을 형성하기 시작했다고 보는 분석도 있다.

▽내부적으론 치열한 ‘상호 유인전’=주류측은 ‘통합신당’에 대한 주류측의 진의가 확실해지면서 중도파는 물론이고 상당수의 비주류도 통합신당론으로 기울고 있다고 보고 있다.

주류측의 한 의원은 “비주류도 3, 4명 정도만이 당 고수 입장이다. 대부분은 통합신당 쪽으로 설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주류측은 비주류가 의심하는 ‘공천과정에서의 인적 청산’에 대한 불안을 해소해주기 위해 당초의 ‘국민참여 경선’안을 전당원직선제와 국민참여경선 중 택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주류를 배려한 ‘안전장치’도 마련했다고 강조한다.

비주류에서도 주류 지도부의 자세 변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가 없지 않다. 한 비주류 관계자는 “주류가 통합신당을 강조하기 위해 ‘개혁신당’과 선을 확실히 긋다 보면 다시 저쪽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우리가 주장하는 리모델링 쪽으로 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주류의 최근 태도 변화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또 “이미 주류측 일각에선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현실성이 없는 신당론을 접고 명분 있게 퇴각하는 순서를 밟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류 지도부의 외부 연대 중지 선언이 단지 ‘통합신당’이라는 틀로 비주류를 유인하기 위한 전술적 발언일 가능성이 있다는 경계론이 비주류들 사이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비주류의 유용태(劉容泰) 의원은 “통합신당론은 ‘통합’에는 뜻이 없고 ‘신당’에만 뜻이 있는 주류측이 대의원들을 현혹하기 위해 내세우는 위장전술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31일 최고위원·고문 연석회의가 전당대회 준비기구에 주류-비주류의 동수 참여를 주장하는 비주류와 중도파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류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 결론 없이 끝난 것도 양측간 불신의 벽이 여전히 두텁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류측의 한 핵심의원은 “공식 회의와 별도로 충분한 물밑 협상을 통해 신뢰를 구축하고 핵심 쟁점을 사전 타결하는 등의 신뢰 회복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성원기자 sw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