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등교를 엄격히 통제한 이유는 학교가 대표적인 밀집 시설인 데다 활동량이 많은 학생들이 교내 감염은 물론 지역 사회에까지 감염을 확산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학교 봉쇄가 감염 차단의 효과는 적은 데 비해 돌봄 공백과 학력 저하 등 부작용은 크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해외 선진국들은 전면 등교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도 국내 감염 사례를 분석한 논문에서 “학교 봉쇄의 효과는 제한적인 데 비해 그로 인한 개인적 사회적 피해는 크다”며 등교 확대에 힘을 실은 바 있다.
코로나 2년 차로 접어든 올해는 등교 확대를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교육부는 새 학기부터 유치원생과 초등 1, 2학년생의 경우 매일 등교를 권고했지만 다른 학년들에까지 대면 수업 확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선 학교에서 등교 확대를 꺼리는 이유는 방역에 문제가 생기면 학교가 책임을 져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자율이라는 명분으로 등교 확대와 방역의 책임을 일선 학교에 떠넘길 것이 아니라 감염 우려 없이 대면 수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吳 "서울형 상생방역…자가진단 키트 노래방 시범도입”
“김어준, 교통방송서 퇴출해라” 靑 청원, 사흘 만에 14만 명 돌파
[단독]檢 “이상직, 회삿돈으로 포르쉐 빌려 딸이 이용”
[천광암 칼럼]20대의 문재인 정권 4년 경험치
김원웅 광복회장, 임정 기념식서 독립유공자 후손에 멱살 잡혀
김원웅, 임정 기념식서 광복회원에 멱살 잡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