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꽃이라고 작게 살지 않는다[서광원의 자연과 삶]〈22〉

  • 동아일보
  • 입력 2020년 6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건물 가득한 도시에서 야생화를 볼 수 있을까? 힘들 것이다. 하지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삭막한 도심 한가운데가 아니면 저 혼자 자라 꽃을 피우는 야생화들을 길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무슨 말인가 싶겠지만 사실이다. 다만, 정말이지 눈곱만 하기에 준비해야 할 게 있다. 작은 세상을 볼 수 있는 마음의 여유와 허리를 굽히는 관심이다.

날마다 오가는 길에 작디작은 꽃이 피었길래 알아보니 꽃마리였다. 자를 갖다 대봤더니 세상에, 꽃의 지름이 0.2∼0.3cm다! 작다는 냉이꽃보다 더 작다. 서서 보면 희끄무레한 점들만 보이니 쉽게 보일 리가 없다. 하지만 작다고 허투루 피지 않는다. 작아도 있을 건 다 있다. 무릎을 꿇고 들여다보면 연한 하늘색 꽃받침 다섯 개가 선명하게 꽃을 감싸고 있다. 크기만 작을 뿐 나무랄 데 없는 꽃이다.

꽃마리 꽃을 보다 털별꽃아재비 꽃을 보면 엄청 커 보인다. 크기가 두 배쯤(0.5cm) 되니 말이다. 물론 오십보백보라 눈을 여러 번 깜박이며 초점을 잘 맞춰야 꽃잎 같은 하얀 혀꽃 다섯 개가 가운데에 있는 노란색 꽃을 둘러싸고 있는 걸 볼 수 있다. 역시 갖춰야 할 걸 다 갖춘 엄연한 꽃이다. 연한 자주색의 이질풀 꽃과 주름잎 꽃은 또 어떤가. 하도 깜찍해 한참을 들여다보게 한다. 특히 주름잎 꽃은 디자인이 참 오묘하다. 두 장의 큰 잎 사이에 작은 잎이 하나 있고 그 아래에 두 개의 노란 점과 포대 같은 자루가 있는데, 이 자루 안에 암술이 있다.(직접 봐야 한다!) 이 멋진 구조를 어떻게 디자인했을까?

처음엔 적이 궁금했다. 이 작은 꽃을 피워 뭘 하겠다는 거지? 사실 꽃이 작으면 벌과 나비 같은 중매쟁이들이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꿀이나 꽃가루를 많이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꽃에도 이로울 게 없다. 중매쟁이들이 같은 꽃을 돌아다녀야 수정이 잘될 텐데 꽃이 작아 이 꽃 저 꽃 돌아다니다 보니 수정 확률이 낮고 씨앗을 많이 만들 수도 없다. 그런데도 왜 꽃을 피울까?

작은 건 분명한 약점이지만 약점의 뒷면은 장점이다. 작기에 어디든 살 수 있다. 큰 꽃들은 엄두도 못 내는 도시 길가에서도 자랄 수 있다. 오로지 혼자의 힘으로 전 세계를 자신들의 터전으로 만든 별꽃처럼 말이다. 작은데도 꽃을 피우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복제처럼 똑같은 걸 만들어내는 무성생식으로는 이런 능력을 얻을 수 없다. 귀찮고 힘들지만 암수가 만나는 유성생식으로 새로운 형질을 만들어내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만들 수 있다. 그러려면 작아도 제대로 된 꽃을 피워야 한다.

덕분에 살아가는 이치를 또 하나 배우고 있다. 작다고 꽃이 아닌 것도 아니고 예쁘지 않은 것도 아니다. 작다고 삶이 아닌 것도 아니다. 살아가는 방식이 다를 뿐이다. 이 작은 꽃들은 작은 몸으로 세상을 넓게 사는 방법을 벌써 깨친 듯하다.

서광원 인간자연생명력연구소장
#작은 꽃#야생화#털별꽃아재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