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를 10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에 지난해 대미(對美) 철강 수출국 4위인 한국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 카드까지 만지작 거리고 있어 현실화된다면 국내 산업계 전반에 영향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늦은 오후 백악관 집무실에서 이같은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이번 관세에 대해 “예외나 면제는 없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내달 4일부터 시행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반도체와 자동차, 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국가들이 관세 보복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상관없다”고 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선임 고문은 이 조치가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생산업체에 도움이 되고 미 경제·국가 안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철강·알루미늄 관세 2.0은 외국 덤핑을 종식시키고 국내 생산을 촉진하며 철강·알루미늄 산업을 경제·국가 안보의 중추이자 기둥 산업으로 확보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단순히 무역에 관한 것이 아닌 미국의 중요 산업을 외국에 의존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2018년 트럼프 1기 행정부 때도 전 세계 철강 제품에 25% 관세가 부과됐으나 당시 한국은 협상을 통해 2015~2017년 연평균 수출량의 70%만 무관세 쿼터를 적용받았다. 쿼터제 유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한국의 경우 기존 쿼터제를 폐지한 후 관세 25%를 새롭게 부과하거나 쿼터제와 관세 25%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