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작업 동시 수행 가능

김지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재료과학 및 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13일(현지 시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중국 칭화대 등과 공동으로 AI 칩 속에 다양한 모듈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광통신 AI 칩(사진)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발표했다.
AI 칩은 영상과 음성 인식처럼 한 분야를 심층 학습해 인간보다 나은 능력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장치다. 한번 학습한 AI 칩을 다른 분야에 활용하려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시키거나 아예 새 뇌를 이식하듯 기존에 학습한 부분을 교체해야 한다. 학습한 영역을 교체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AI 칩의 배선을 새 모듈에 맞게 바꿔야 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은 어려웠다.
연구팀은 매사추세츠공대를 뜻하는 M, I, T 글자를 인식하도록 학습한 모듈 부품 세 개를 차곡차곡 쌓아 가로세로 각각 2mm 크기의 영상인식 AI 칩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이 칩은 각각의 글자를 정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연 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단장은 “지금의 AI는 인간처럼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잘하기 어려운 게 가장 큰 단점이었다”며 “AI가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해결하는 이른바 ‘멀티모달 AI’에 한층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조승한 동아사이언스 기자 shinjsh@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