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눈으로 본 세상, 그 모호함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1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양정욱 개인전 ‘Maybe it's like that’

양정욱 작가의 ‘모르는 마을’(2021년). 자전하듯 돌고 있는 뭉툭한 흰 덩어리 2개와 검은색 원 고리 사이로 허우적대는 나무막대 세 개가 보인다. 작가는 “언어를 모르는 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모호함 그 자체일 것”이라고 했다. OCI미술관 제공
양정욱 작가의 ‘모르는 마을’(2021년). 자전하듯 돌고 있는 뭉툭한 흰 덩어리 2개와 검은색 원 고리 사이로 허우적대는 나무막대 세 개가 보인다. 작가는 “언어를 모르는 아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모호함 그 자체일 것”이라고 했다. OCI미술관 제공
전시장 문을 열면 흰 덩어리 2개가 붙어서 빙글빙글 돈다. 한 행성의 3D 버전 같기도 한데, 군데군데 숫자 팻말이 있다. 뒤에 놓인 세 개의 나무 막대는 서로 닿을 듯 닿지 않으며 사방으로 허우적댄다. 작품 ‘모르는 마을’(2021년)이다. 답답함이 몰려오는 이 전시 ‘Maybe it‘s like that’. 제목마저 갑갑하다.

‘모르는 마을’을 만들게 된 계기는 아이였다. 서울 종로구 OCI미술관에서 만난 양정욱 작가(39)는 최근 아이가 태어났다며 입을 뗐다. “돌도 안 된 아이에게 뭔가를 설명하려 해도 명쾌하게 해설할 수 없고, 알아듣지도 못하죠. 그런데 이게 전시의 목적인 것 같아요. 우리가 새로운 작품을 보는 건 기존 언어로 정의되지 않는 무언가를 보고 각자 다른 생각을 하기 위해서니까요.” 이를 듣고 나면 ‘모르는 마을’의 흰 덩어리는 자세히 설명하길 포기하고 핵심만 짚어준 상황으로, 막대기는 절묘하게 엇갈리는 생각들로 각각 보인다.

기존에 작품마다 문장형 제목을 붙이고 나무를 주 재료로 써왔던 그는 이번엔 제목을 짧게 정하고 나무 사용도 최소화했다. 양 작가는 “10년 가까이 활동하다 보니 대중이 좋아하는 걸 안다고 생각했다. 한데 아이가 태어나자 내가 아는 게 별로 없다는 걸 깨달았다. 첫 아이라 키우는 과정에서 수시로 ‘이게 맞나?’ 하는 의문이 생겼고, 그게 활력이 됐다. 그 느낌을 작업에 소환하고 싶었다”고 했다.

이번 전시장에는 보물찾기 같은 작품도 있다. ‘일시적인 약도’는 2층 전시장 난간에 나무 조각, 실, 철사 등으로 지도를 표현한 것으로, 얼핏 보면 쓰레기를 흩어 놓은 것 같다. 이 작품은 양 작가의 상상에서 비롯됐다. 두 사람이 벤치에 앉아 막대로 땅에 그림을 그려가며 목적지를 설명한다. 작가가 인근을 한 바퀴 돌고 왔더니 둘은 사라졌다. 사정을 모르는 누군가에게 그 그림은 쓸모없는 것이지만, 작가는 설명의 흔적임을 안다. ‘일시적인 약도’의 재료도 작업을 하고 남은 것들이다.

일상의 이야기를 다루는 그는 항상 ‘나는 충분히 일상적인 삶을 살고 있나?’ 되뇐다. 아르바이트도 하고, 배도 고파 보고, 버스도 타는 등 보통 사람이 살아가는 일상에서 뒹굴어야 작품이 보인다고 한다.

“제가 다루는 주제는 누구나 한 번은 보거나 접하게 될 수 있어요. 그게 예술이 해야 하는 일 같아요. 누군가는 한 번 겪는 일에 대해 이야기하는 거요.”

12월 18일까지. 무료.

김태언 기자 beborn@donga.com
#신생아의 눈#양정욱 작가#개인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