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살아있다… 경기-충북 등에 고구려 유적 산재

  • 입력 2004년 8월 19일 16시 24분


코멘트
중원 고구려비
중원 고구려비
멀리 중국이나 북한에 가야만 고구려 유적을 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남한 내에는 그만큼의 위용이나 예술적인 유물은 없지만 고구려의 향기를 맡기에는 충분한 상태. 눈으로 보기에는 다소 실망스러울지 모르지만 미리 알고 찾아가면 색다른 역사를 느낄 수 있다.

남한 내에 남아있는 고구려 유적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뚜렷한 자취 중원 고구려비

남한 내에 고구려 유적은 크게 한강 아차산 주변과 임진강 주변, 경기 양주 일대에 주로 분포돼 있다. 이밖에 충북 충주 청원, 경기 포천 등지에 일부가 산재해 있다.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에 있는 중원 고구려비(국보 205호)는 이 중 가장 두드러진 유물. 높이 약 2m이며 사면에 400여개의 글자가 예서체로 새겨져 있다. 5세기 무렵 고구려의 인명표기법과 관등 조직을 알 수 있으며 신라가 고구려에 예속돼 있었음도 짐작할 수 있다.

○ 한강 도하 교두보 호로고루성

임진강 북쪽 경기 연천군 장남면 일대 현무암 단층 위에 서 있는 성. 둘레는 약 400m, 내부 면적은 2000평 정도다. 2000년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했으며 다량의 토기, 벼루, 철기 등이 출토됐다. 호로고루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 일대 하천을 옛날에는 ‘호로하’라고 불렀다고 한다.

임진강 북안에는 당포성, 대리성 등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발굴이 이뤄진 상태다. 한강 도하를 위한 교두보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전략적 요충지 덕진산성

임진강 북쪽 기슭에 위치한 산성으로 해발 65m의 야산에 축조됐지만 주변에 높은 산이 없어 넓은 지역을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 이 산성은 시기를 달리해 3차례에 걸쳐 축조된 것으로 보이며 그중 1차 성벽만이 고구려가 쌓았다. 2, 3차 성벽은 통일신라와 조선시대 것. 고구려 토기와 탄화된 쌀과 철기류가 출토됐다.

○ 삼국시대 교통요지 아미성

경기 파주시 적성면 적암리와 연천군 눌목리의 경계지점인 해발 260여m의 봉우리에 쌓은 석축산성. 이 성은 368번 지방도로를 사이에 두고 수철성과 마주하고 있어 이 길목이 삼국시대 중요한 교통로였음을 알 수 있다.

동쪽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있는 반면 서쪽과 북쪽은 무너진 상태다. 둘레는 290m 정도. 많은 양의 기와 조각과 토기가 발견됐다.

○ 의례 사용 호우총 출토 청동제 합(盒)

경주 신라 고분인 호우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 몸통 지름이 약 24cm, 뚜껑을 포함한 높이가 19.4cm이며 바닥에는 ‘을묘년(장수왕 3년)에 광개토대왕을 기념해 만든 호우 중 10번째 것’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일상용기라기보다는 의례 때 사용된 것으로 이 그릇이 왜 신라에 오게 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 국보 119호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

1963년 경남 의령군 대의면 하촌리에서 발견된 고구려 불상. 국보 119호이다. 단순형태의 대좌와 터질 듯 부풀어 오른 연꽃 및 힘차게 타오르는 듯한 광배의 불꽃무늬 등에서 고구려 불상의 특징이 잘 표현돼 있다.

광배 뒤에 명문이 있는데 ‘고구려 동사(東寺)의 주지 등 40여명이 1000개의 불상을 만들었는데 그중 29번째 불상’이라고 적혀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이진구기자 sys120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