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세대교체로 ‘노메달’ 수모
고강도 훈련으로 파워-정확도 높여
7개 종목 전부서 메달 확보 노려

한국 배드민턴 대표팀 사령탑 김학균 감독은 1일 ‘만리장성’ 중국을 꺾고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에서 29년 만의 금메달을 차지한 뒤 이렇게 말하면서 “여기서 따는 메달만큼 내년 파리 올림픽에서도 딸 것”이라고 했다. 한국 배드민턴은 이번 아시안게임 세부 종목 7개 전부에서 메달 획득을 목표로 삼았다.
한국은 이날 여자 단체전 결승에서 개최국 중국을 3-0으로 완파하고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한국 배드민턴이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 정상에 오른 건 1994년 히로시마 대회 이후 29년 만이다. 중국은 1998년 방콕 대회부터 2014년 인천 대회까지 여자 단체전 5연패를 달성한 배드민턴 강국이다. 항저우 아시안게임 조직위원회는 이날 결승전 결과를 전하면서 “한국이 중국에 충격을 안겼다. 중국을 놀라게 만들었다”고 했다.
이번 대회 단체전 결승에서 제1단식 첫 주자로 나선 안세영은 고향인 항저우 팬들의 일방적인 응원을 받은 천위페이(세계 3위)를 51분 만에 2-0으로 꺾었다. 천위페이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대회에서 안세영에게 첫판 탈락의 아픔을 안겼던 선수다. 안세영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천위페이에게 1승 8패로 크게 밀렸지만 올 들어 5승 2패로 우위에 올랐다. 안세영은 “이제 나는 예전의 내가 아니다”라며 자신감을 보였다. 두 번째 경기 복식에서도 이소희-백하나 조(세계 2위)가 세계 1위인 천칭천-자이판 조를 2-0으로 눌렀고, 세 번째 경기 단식에서 김가은(18위)이 허빙자오(5위)를 2-0으로 물리치면서 승부를 끝냈다.

이번 대회 한국의 여자 단체전 우승으로 아시안게임 모녀 금메달 리스트도 탄생했다. 여자 대표팀 김혜정은 1980, 90년대 한국 배드민턴 간판이었던 정소영 전북체육회 이사의 딸이다. 29년 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 금메달 멤버 중 한 명이 바로 정 이사다. 정 이사는 당시 혼합 복식까지 2관왕을 차지했고 앞서 배드민턴이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에선 여자 복식 금메달을 땄다.
항저우=강동웅 기자 lep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