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석달전 사례 연결 근거부족”… 논란 커지자 市 “취지 잘못 전달” 서울시의 방역 실무 책임자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 현상이 “8월 15일 광화문 집회에서 이어졌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뚜렷한 근거 없이 3개월이 지난 집단감염을 최근 상황과 연결짓는 건 부적절하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방역통제관)은 19일 오전 코로나19 브리핑에서 “8, 9월에 큰 집단감염 이후 잔존 감염이 지역사회에 계속 있었다. 이것이 최근에 발생하고 있는 소규모, 다발성 집단감염으로 이어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사 출신인 박 국장은 서울시에 개방형직위로 채용돼 보건의료정책과장을 지내다 6월부터 시민건강국장을 맡고 있다.
박 국장은 추가 설명에서 ‘8·15 도심 집회’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특히 8, 9월 사이에는 사랑제일교회나 8·15 도심 집회 관련 확진자가 수백 명 생겨나는 큰 집단감염 형태였으나 최근 양상은 일상생활 공간에서 소규모로 여러 곳에서 발생한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박 국장의 주장에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우주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박 국장) 주장대로라면 8·15 집회 뒤 대략 20차 감염이 벌어졌다는 건데, 역학조사를 바탕으로 흐름을 보여줄 수 없다면 궤변일 뿐”이라며 “방역 책임자가 특정 집단을 감염 온상으로 지목하는 건 혐오만 강화시킬 뿐 방역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김탁 순천향대 감염내과 교수도 “사회적 거리 두기가 약화되면서 확진자가 급증할 수 있다는 예측은 지속적으로 나왔다”며 “최근 재확산 추세의 원인을 석 달 전 특정 집회로 몰아가는 것은 근거도 부족하고 적절치 않은 태도”라고 지적했다.
논란이 커지자 서울시는 19일 오후 해명자료를 내놓았다. 시는 “8, 9월 집단감염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8·15 도심 집회를 예시로 든 것”이라며 “당시 집단감염 여파로 지역사회에서 찾아내지 못한 무증상 감염자들이 지역사회에 남아 있다는 취지였다. 광복절 집회 때문에 최근 확진자가 늘었다는 뜻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박창규 kyu@donga.com·이소연 기자
[김순덕의 도발]공수처장은 ‘법의 지배’를 말했다
이재영·이다영 ‘학폭’ 폭로 또…“입에 피 머금고 살았다”
국민 과반 “가덕도 특별법은 잘못”…부울경 54%도 부정평가
국민을 위한 정부는 없다[오늘과 내일/홍수용]
국민 53.6% “가덕도 특별법, 잘못됐다”…PK도 54% ‘잘못된 일’
“가난해 따돌림 당한 아들…음식 사준 ‘편의점 천사’ 찾아요”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