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기는 매매가 뛰는 전세금…아파트시장 '이상기류'

  • 입력 2000년 4월 19일 20시 22분


부동산 비수기인데도 아파트시장에 이상 기류가 흐르고 있다.

매매가는 제자리 걸음을 걷거나 하락세로 돌아서고 있는데 반해 전세금은 계속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는 것. 일부 지역에선 매매가 대비 전세금의 비중이 96%에 달해 가격차가 거의 없어진 경우까지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금 비중이 60∼70%에 달하면 세입자들이 집 구입에 나서고 매매가도 동반 상승한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상식. 따라서 최근의 시장 동향은 이변에 속한다.

▼매매가-전세가 비슷▼

▽시장 동향〓부동산플러스 등 부동산시세 조사업체들에 따르면 2월말 이후 상승세가 주춤하던 아파트 매매가는 4월에 접어들면서 오름폭이 눈에 띄게 줄면서 완전히 비수리로 접어든 양상을 보이고 있다.

3월말 대비 4월19일 현재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는 중랑(-0.2%) 송파(-0.2%) 성북구(-0.1%)에서 하락세로 돌아섰고 강남 강동구 등 16개구에서는 0∼0.1%대의 상승률을 기록, 사실상 제자리에 머물렀다.

신도시 지역에선 중동이 떨어졌고 수도권에서는 용인 의정부 안성 남양주 구리시 등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반면 전세금은 소형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지속됐다.

서울의 경우 강동 강북 노원 동작 서대문 중랑구 등지에서 모두 1.0% 이상 오르는 등 중구(0%)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오름세를 보였다. 신도시에선 산본(1.5%)과 중동(1.0%)에서 1% 이상 올랐고 나머지 지역도 모두 상승세.

신도시를 제외한 경기도에서도 고양 광명 군포 남양주 안산 의정부 평택 포천 등지에서 모두 1%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 20평대 이하의 소형아파트는 전세금과 매매가 차이가 최고 300만만원 정도로 좁혀지는 곳이 속출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도봉구 쌍문동 H아파트 22평형의 경우 매매가가 6800만원인데 전세금은 무려 96%에 달하는 6500만원에 형성됐고 구로구 구로동 H아파트 14평형도 매매가는 5000만원인데 전세금은 4500만원이었다.

수도권에선 경기 부천시 중동신도시 D아파트 23평형이 매매가 7000만원에 전세금은 6500만원이었고 안양시 산본동 M 아파트 24평형이 매매가 8500만원에 전세금은 7500만원에 거래됐다.

▽왜 이러나〓99년말 현재 주택보급율은 93%를 넘어섰고 오피스텔 등을 포함하면 이미 100%를 넘는다는 통계가 잇따르면서 당장 들어가 살 집 걱정이 사라지자 실수요자들이 주택 구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주택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 우려가 적은 이상 주택 구입에 따른 각종 비용이나 세제 부담 등을 피하려 한다는 것.

여기에 분양제도를 완화해 신규 분양아파트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난 것도 기존 아파트시장이 실수요자들로부터 외면받게 한 요인이 됐다. 청약저축 가입확대, 조합주택 가입자격 완화, 분양권 거래 양성화 등으로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상품 대상이 늘어남에 따라 수요를 분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온 것.

최근까지 주식시장이 호황을 누리면서 여유돈을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추세도 매매보다는 전세시장이 호황을 누리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아파트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단독주택이나 다가구 다세대에서 살던 임차인들이 아파트에 몰리는 것도 아파트 전세금의 이상 급등을 지속하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하반기 집값 또 '들먹'▼

▽향후 전망〓전세금도 조만간 진정세로 돌아서리라는 데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한다.

주택경기가 비수기로 접어들면서 수요가 급감하는 데다 새 아파트 입주 물량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 그러나 하반기에 전세금과 집값이 다시 오를 것이라는데도 전문가들은 이견이 없다. 다만 상승폭과 관련, 소폭일 것이라는 주장과 폭등에 가까울 정도로 클 것이라는 주장이 팽팽하다.

김성식 LG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택보급률 등을 감안할 때 재고주택이 충분하기 때문에 집값이 하반기에 오른다해도 작년과 달리 소폭에 그칠 것”이라며 “실수요자는 무리해서 집을 구입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

반면 김선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98년과 99년에 지어진 주택물량이 적정물량의 75%에 불과했기 때문에 하반기부터 이 영향이 가시화할 가능성이 크다”며 “실수요자라면 지금부터 자기가 원하는 곳을 미리미리 확보해두는 것도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