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젊은 세대가 연애보다 개인의 삶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데이터 컨설팅 기업 ㈜피앰아이(PMI)가 ‘GS&패널’을 통해 전국 만 20~49세 미혼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1.7%가 현재 연애를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 61.1%, 30대 72.6%, 40대 81.5%가 현재 연애 중이 아니라고 답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연애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대 응답자 중 29.8%는 연애 경험이 전혀 없다고 답해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연애를 하지 않는 이유로는 ‘연애에 대한 관심이나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37.8%)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연애할 상대를 만나지 못했다’(35.6%), ‘데이트 비용 및 결혼 등 경제적 부담을 피하고 싶다’(16.5%), ‘학업·일이 더 중요하다’(8.9%)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절반 이상(51.2%)이 연애에 관심이 없다고 답해, 남성(23.1%)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기록했다. 이는 개인의 삶과 커리어를 중시하는 현대 여성들의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연애를 부담스럽게 느끼는 이유로는 ‘시간과 감정적 에너지가 많이 소모돼서’(52.6%)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경제적 부담’(39.6%)이 뒤를 이었다. 특히 남성 응답자 45.6%는 경제적 이유 때문에 연애를 꺼린다고 답해, 연애에 따른 지출이 현실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데이트 비용 부담 방식에 대한 인식도 다양했다. 응답자의 32.7%가 ‘경제력이 높은 쪽이 더 많이 낸다’는 방식을 선호했으며, ‘데이트 상황에 맞게 부담을 조정한다’(31.9%), ‘번갈아 가며 부담한다’(19.8%), ‘더치페이’(15.6%) 순으로 나타났다.
연애와 개인 삶(자기계발, 커리어 등)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를 묻는 질문에서 ‘둘 다 균형을 맞춰야 한다’(41.5%)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개인의 삶이 더 중요하다’(40.4%)는 답변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여성 응답자의 절반 가까이(49.4%)가 개인 삶을 우선시한다고 답해, 남성(31.3%)보다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애 중 동거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33.1%), 부정적(21.3%), 보통(45.6%)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긍정적 응답(42.1%)이 부정적 응답(11.5%)보다 훨씬 높았던 반면, 여성은 긍정적 응답(24.1%)보다 부정적 응답(31.2%)이 많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는 동거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40.6%로 가장 높아, 젊은 층일수록 동거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였다.
피앰아이(PMI) 조민희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 젊은 세대는 연애를 필수적인 삶의 요소로 여기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선택적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며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 속에서 이러한 연애 가치관의 변화는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개인의 성장과 안정적인 삶을 우선하는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