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김정은 시대 순항·탄도미사일 발사…김일성·김정일 때와 달라”

  • 뉴스1
  • 입력 2021년 3월 31일 17시 59분


코멘트
북한이 관영매체가 공개한 지난 25일 ‘신형 전술유도탄’ 발사 당시 사진. 오른쪽 빨간색 사각형이 함경남포 연포비행장 북쪽에 위치한 P-35 레이더 추정 물체다. (마틴 윌리엄스 미국 스팀슨센터 연구원 트위터 캡처) © 뉴스1
북한이 관영매체가 공개한 지난 25일 ‘신형 전술유도탄’ 발사 당시 사진. 오른쪽 빨간색 사각형이 함경남포 연포비행장 북쪽에 위치한 P-35 레이더 추정 물체다. (마틴 윌리엄스 미국 스팀슨센터 연구원 트위터 캡처) © 뉴스1
북한이 최근 발사한 순항미사일과 탄도미사일을 보면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체제의 ‘미사일 개발 전략’이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대와는 달라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장철운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실 부연구위원은 31일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 변화와 남북한 미사일 개발 경쟁’ 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김정은 시대 들어 액체 연료 지대지 탄도 미사일의 사거리 연장뿐 아니라 고체 연료 지대지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을 병행 개발하는 전략으로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정 부연구위원은 “김정은이 집권하기 이전부터 북한은 탄도 미사일 사거리 연장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면서 “2017년 11월29일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급으로 평가되는 ‘화성-15’ 시험 발사까지는 대체로 북한의 액체 연료 사용 탄도 미사일 개발과 관련된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탄도 미사일 개발도 추진하고 있고 정 부연구위원은 설명했다. 그는 “북한의 고체 연료 사용탄도 미사일 개발이 처음 외부에 알려진 시기는 2005년 4~5월 북한이 시험 발사한 고체 연료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한미 군사 정보 당국은 ‘KN-02’라는 별칭을 붙였다”고 말했다.

이후로도 북한은 고체 연료 단거리 탄도 미사일의 시험 발사를 지속했지만, 사거리가 길지 않은 것으로 평가돼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다만 북한의 고체 연료 탄도 미사일 개발에 다시 관심이 쏠린 것은 김정은 집권 이후였다.

정 연구위원은 “북한은 2015년 1월 함경남도 신포조선소 인근에서 ‘북극성-1형’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의 사출 시험을 진행했는데, 북극성-1형 SLBM이 바로 고체 연료 탄도 미사일이었다”면서 “북한은 2020년 3월까지 18차례에 걸쳐 신형 전술유도무기, 대구경 조종 방사포, 북극성-3형 SLBM 등 고체 연료를 사용하는 발사체를 계속해서 쏘아 올렸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 연구위원은 김정은 시대 들어 순항 미사일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고 봤다. 2018년 이후에만 3차례나 지상 발사용 순항 미사일이 발사됐다.

정 연구위원은 “김일성·김정일 시대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은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스커드 탄도 미사일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사거리를 연장하는 방향이었다”고 평가하면서 “미사일 관련 사안을 세분화하고, 이를 미국과의 협상 카드로 적극 활용하며 미사일 개발의 진척 속도를 조절하는 양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은 “속도 조절 없이 액체 연료 지대지 탄도 미사일 사거리 연장을 추진하는 기존의 전략을 지속하는 동시에 고체 연료 지대지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 개발을 함께 추진하는 병행 전략으로 바뀐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의 미사일 개발 전략이 이렇게 변화한 배경에는 남북한 미사일 개발 경쟁이 자리했다고 정 부연구위원은 주장했다. 북한이 김정은 시대 들어 다양한 미사일 개발을 병행 추진하는 이유는 대미·대남에 대한 성격이 있다는 설명이다.

정 부연구위원은 “김정은 정권 들어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지대지 탄도 미사일의 사거리 연장을 급격하게 추진해왔다는 점은 미국 ‘대북 적대 정책’에 대한 북한의 대응 전략”이라면서 “북한이 최근 시험 발사한 고체 연료 지대지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은 사거리 등의 측면에서 미국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남한에 대한 성격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정은 총비서가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제시한 미사일 개발 전략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남북한의 미사일 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수 있다”면서 “안보 딜레마가 심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