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 사회:새로운 패러다임’학술행사]대기업 - 中企 동반성장

  • Array
  • 입력 2011년 3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기업생태계, 中企잡는 수렵형서 함께 크는 경작형으로 가야”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정한 사회: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열린 공동 학술행사에서 경제 분야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좌승희 서울대 경제학부 겸임교수, 최정표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유장희 이화여대 명예교수,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윤창호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박원암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17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정한 사회: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제로 열린 공동 학술행사에서 경제 분야 전문가들이 토론하고 있다. 왼쪽부터 좌승희 서울대 경제학부 겸임교수, 최정표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유장희 이화여대 명예교수, 이두원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윤창호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박원암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동반성장은 공정한 사회의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으로도 화두가 됐다. 최근 여야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하도급 거래 불공정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취지의 법을 국회에서 통과시킨 것을 비롯해 동반성장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는 기류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기업생태계, 수렵형에서 경작형으로”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는 ‘경영패러다임으로서의 동반성장과 대한민국 기업생태계의 건강성’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기업의 동반성장이 가능하려면 기업생태계를 보는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을 1회성 파트너로 인식하고 단기적 이윤 극대화를 추구하는 ‘수렵형’이 아니라 수익을 배분하며 기업생태계를 번성시키는 ‘경작형’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애플의 성공과 인터넷서비스업체 AOL의 실패 사례를 비교했다. 애플은 대부분의 기존 기업이 자사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업체와 8(애플) 대 2(콘텐츠업체)로 수익을 배분해온 것과 달리 아이팟과 아이폰을 서비스하며 3(애플) 대 7(콘텐츠업체)로 배분해 앱스토어라는 장터를 활성화시키는 성과를 거뒀다는 것이다. 반면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승승장구했던 AOL과 야후는 협력업체와의 관계에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단기간에 최대수익을 올리는 전략을 취했다가 협력업체들의 수익모델이 약해지면서 사세가 기우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한국 사회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거래의 불공정성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을 방치하면 중소기업이 붕괴해 전체 고용의 88%가 흔들리는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 중소기업에 개방해야 대기업도 산다


동반성장 전략이 단순히 중소기업의 생존을 돕는 차원이 아니라 대기업 스스로의 생존을 위해 절실하다는 분석도 나왔다. 김수욱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는 ‘오픈 이노베이션과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의 의미’라는 발표문에서 “해외시장이 커질수록 기업활동 과정에서 예상하기 힘든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사내조직뿐 아니라 필요하다면 특허기술까지 중소 협력업체에 제공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도요타의 리콜사태와 듀폰의 매출액 성장 사례를 들었다. 도요타 리콜사태는 자동차 판매가 늘고 차종을 다양화하면서 설계가 복잡해졌는데도 생산관리를 단순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아웃소싱 노력이 없었던 점도 큰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었다. 반면 듀폰은 자신의 사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원천기술을 협력업체에 제공하고 이를 통해 부가수익을 창출하는 등의 개방형 경영으로 연평균 10%의 성장률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

그는 “글로벌 기업을 만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내가 모든 것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업체와 상호신뢰를 구축하고 실질적인 권리를 줘서 이를 토대로 서로 이익을 추구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기업이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수익과 복잡성(불확실성)을 떠안는 과거 방식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다.

토론자로 나온 임일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는 “개방형 경영이라는 새로운 환경을 조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선 정부가 규제나 간섭이 아닌 공정한 규칙을 만들고 심판 역할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제안했다.

황장석 기자 suron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