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막말, 양국 노력 효과 방증” 한미는 대북제재로 자금줄이 막힌 북한이 가상화폐를 탈취해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보고 북한 사이버 활동 정보 공유를 위한 협의체를 가동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이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및 이들의 탈취 자금을 세탁한 가상화폐 ‘믹서 기업’들을 제재하면서 불법 사이버 활동을 통한 북한 수익도 줄어든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그는 이날 미 워싱턴에서 가진 특파원 간담회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같은 북한 고강도 도발에 대응하는 미국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한미 및 한미일 공조 강화 협의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연간 북한 탄도미사일 최다 발사 기록이 2019년 25발이었는데 올해는 63발”이라며 “포 사격 등 재래식 도발까지 병행한다는 면에서 전례 없는 수준의 도발 국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한미 양국은 어떤 도발도 발생 즉시 신속한 정보 공유 및 대응 조치 협의가 이뤄지고 있고 한미일 3자 간 공조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중국도 북한 고강도 도발로 고조된 한반도 긴장을 안정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조 대사는 “최근 김여정과 최선희(북한 외무상) 담화에서 볼 수 있듯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이나 확장 억제 메시지 등을 구실 삼아 도발 책임을 전가해 보려고 시도하지만 결코 국제사회에서 호응을 얻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