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 내정자는 이날 서울에서 니혼게이자이신문,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들과 만나 한일 간 최대 현안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와 관련해 “양국이 서로 명분을 세울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가 원고로부터 채권을 인수해 현금화를 회피하는 방안이나, 1965년 한일 청구권협정으로 혜택을 본 한국 기업 등을 중심으로 배상을 대위변제(제3자가 우선 갚은 후 채무자에 대해 구상권을 취득)하는 방안이 있다”고 밝혔다.
한국 정부가 채권을 인수하는 방안, 한국 기업이 대위변제하는 방안 등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나온 아이디어이지만 한국 정부가 언급한 적은 없다. 한국 정부는 대법원의 배상 판결을 받은 일본 기업이 배상에 참여해야 한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강 내정자는 2일 동아일보 통화에서 “한국에서 여러 가지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고 얘기를 해 준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2월 문희상 당시 국회의장이 위안부 문제로 일왕의 사죄를 요구한 것과 관련해선 “일본에서 천황의 존재, 역할을 대해 무지(無知)한 발언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요미우리가 2일 보도했다. 강 내정자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무지한 발언이란 보도는 오역이다. 문 전 의장이 일본 천황제에 대해 ‘잘 몰라서’ 그런 얘기를 한 것 같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강 내정자는 또 일왕 호칭과 관련해 일본 언론에 “(주일) 대사로 부임하면 천황이라고 부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본보 통화에서 “이제 국회의원이 아니고 정부의 일원이 되면 공식적인 호칭을 써야한다. 정부에서 그렇게 해달라고 했다”고 전했다.
도쿄=박형준 특파원 lovesong@donga.com
박민우 기자 minwoo@donga.com
안철수 “조국, 딸 의료행위 직접 막아라…文에 부담”
“입양아가 쇼핑 물건이냐”…文 ‘교환발언’에 비판 봇물
“법무부 이건 아니잖아요” 박준영, 추미애·정한중 직격 비판
하태경 “문준용, 내가 아니라 검찰에 이긴 것…대국민사과 해야”
김진욱 “이승만-박정희-이명박-박근혜 훌륭하신 분들… 공과 함께 있다고 생각”
“김학의 출금, 알고 옹호해야”…박준영, 추미애·정한중 비판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