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즉석밥과 음료 업체들이 연이어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제빵업계 가격도 오르면서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제빵 1·2위 업체들 가격 인상
이번 인상으로 땅콩크림빵은 1200원에서 1300원, 소보루빵은 1100원에서 1200원, 치킨클럽 3단 샌드위치는 4100원에서 4200원으로 100원씩 오른다. 이들 제품 외 나머지 552개 제품 가격은 동결됐다.
파리바게뜨는 “각종 제반 비용 상승에 따라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CJ푸드빌의 뚜레쥬르는 설 명절 전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90여종의 제품 가격을 평균 약 9% 인상한 바 있다. 단팥빵(1200원)과 소보로빵(1200원), 크루아상(1800원) 등은 각각 100원씩 올랐다.
CJ푸드빌 측은 “글로벌 원재료 가격이 매달 최고가를 경신하는 등 국내외 주요 원·부재료 가격이 올라 제품값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가격 조정 이유를 설명했다.
인건비와 함께 원자재값 상승 등 여파가 베이커리 업계에 퍼지고 있는 셈인데, 대형업체의 잇따른 가격 인상에 중소규모 업체 가격도 따라 오를 것으로 예견된다.
◇연초 시작된 먹거리 가격인상 ‘도미노 인상’ 현실화
식음료 업체들의 가격인상은 연초부터 계속되고 있다.
국내 두부 시장 1위 풀무원은 지난달 두부와 콩나물 가격을 10~14% 인상했다.
즉석밥 점유율 1위 업체 CJ제일제당은 이달 말 ‘햇반’ 가격을 6~7% 정도 올릴 계획이다. 2019년 2월 이후 2년 만의 가격인상이다. 오뚜기도 설 연휴 이후 ‘오뚜기밥’ 가격을 7~9% 정도 올릴 예정이며 동원F&B는 지난달 ‘쎈쿡’ 7종 가격을 1350원에서 1500원으로 11% 인상했다.
롯데리아의 버거·디저트 등 제품 25종의 가격도 지난 1일부터 100~200원 인상했다. 대상 제품은 버거류 13종, 디저트류 7종, 드링크류 2종, 치킨류 3종으로 평균 인상률은 약 1.5%다.
샘표식품은 지난달 5일 반찬 통조림 제품 12종 가격을 평균 35% 올린데 이어 같은달 18일 꽁치와 고등어 통조림 제품 4종 가격을 평균 42% 인상했다. 동원F&B 역시 지난달 중순 꽁치·고등어 통조림 가격을 각각 13%, 16% 올렸다.
음료업계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코카콜라는 편의점 제품을 100∼200원 올렸다. 동아오츠카는 대표 제품 포카리스웨트와 오로나민C 가격을 100∼200원 인상했다. 롯데칠성음료도 최고 9%가량 음료값을 인상했다.
앞으로 가격 인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등 업체가 단행하면 후발 기업들이 줄줄이 동참하기 때문이다. 소비자 비판을 덜 받는다는 심리가 작용해서다.
업계 관계자는 “연초 시작된 식음료,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가격인상이 계속되고 있다”며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이스타 ‘이상직 비자금’, 정권말 권력형 비리 비화하나
“정치 방송인 김어준 퇴출”…靑청원, 20만 명 동의
‘김종인의 입’ 물러난 김은혜 “누군가 상처받았을 것같아 반성”
“조국·임종석·이광철 범행가담 강한 의심"…‘靑 선거개입’ 불기소 처분서 보니
광화문광장 공사, 시민의견 수렴 다시 거친후 결론 짓기로
美中 항모 대치… 블링컨 “中, 힘으로 상황 바꾸려 하면 큰 실수”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