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은 총재(사진)는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9개 시중은행장이 참석한 가운데 금융협의회를 열고 “일부 취약 업종을 중심으로 한 기업 실적의 부진에 따라 시중은행들의 수익성과 자산건전성 저하가 우려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앞으로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 추진될 경우 은행의 경영 여건은 더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어 이 총재는 “한국은행도 이 과정에서 신용 경색이 생기는 등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금융시장 불안 해소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한은은 발권력을 동원해 부실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해야 한다는 새누리당의 총선 공약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이날 발언은 이 같은 기존 입장에서 벗어나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시장에 ‘위기 상황’이 도래하면 중앙은행이 가진 수단을 총동원해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 주목된다. 한은이 발권력을 동원해 금융시장에 유동성을 적극 지원한다면 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개선돼 금융권의 구조조정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조선 해운 등 취약 업종에 선별적으로 자금 공급을 늘릴 수도 있다. 한은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 때도 피해 업종을 지원했듯이 구조조정 과정에서 타격이 큰 업종에 대해서도 금융 중개 지원 대출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전했다.
장윤정 yunjung@donga.com·김창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