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許承虎기자」 현대그룹의 제철사업진출 추진과 관련, 중앙정부가 명확한 입장을
유보하고 있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이 서로 「제철소를 유치하겠다」며 치열한 경
쟁을 벌이고 있다.
현대측은 현재 고로 6백만t규모의 제철소 후보지를 △경남 하동군 갈사간척지 △
전남 여천군 율촌2공단 △전북 군산시 새만금간척지 등 세곳으로 압축한 상태.
이에 따라 이들 지역에서는 도지사나 국회의원 등 유력자를 총동원, 입지조건의
장점을 내세우고 각종 혜택을 약속하는 등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달 초순까지만 해도 「물밑경쟁」의 양상을 보였던 지자체들이 갑자기 후끈 달
아오른 것은 지난 10일 金爀珪경남지사가 鄭夢九현대그룹회장 등을 갈사현지로 초청
, 『여기다 제철소를 지어달라』며 직접 안내 및 브리핑을 하면서부터.
金지사는 사업 적지(適地)로서의 각종 여건을 내세우면서 『도가 「행정지원팀」
을 구성, 국토이용변경 공단지정신청 실시계획수립 환경교통영향평가 농지전용협의
등 중앙부처와의 협의를 전담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제철소 유치를 탐내면서도 중앙정부의 눈치 때문에 「은인
자중」하던 전북이 유치전에 급거 가세했다.
柳鍾根전북지사는 지난주 한 간담회에서 『그동안 제철소 유치를 위해 현대관계자
들과 다방면으로 접촉해왔다』고 공개한 후 『타지역에 비해 입지조건이 워낙 우수
해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전북유치는 성공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이에 질세라 許京萬전남지사도 『율촌공단이 기존 광양제철소와 인접해 최적의 입
지조건을 갖췄다』며 최근 현대측에 강력한 유치희망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도의 관계자는 『지난 6월 鄭현대회장의 율촌공단 방문때 이미 전남의 유치는
확정적』이라고 말했다.
중앙정부의 인가여부에는 아랑곳없이 현대제철소 유치에 각 지자체가 이처럼 침을
흘리는 것은 엄청난 지역경제 활성화효과 때문이다.
제철소 가동시 연간 직접생산액 1조3천억원, 생산유발액 2조9천억원, 부가가치 유
발액 8천억원, 고용유발인원이 3만여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