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은 산후정신증을 앓은 저자가 정신병원에 머물며 기록한 에세이다. 산후정신증은 출산 여성의 0.1∼2%만이 겪는 병이다. 극도의 수면장애, 망상, 정서불안을 앓는다. 일부는 출산이나 결혼 자체를 부인한다. 심할 경우 아이를 해치기까지 한다. 일시적으로 슬프거나 불쾌한 감정을 느끼는 산후우울증보다 훨씬 심각하다. 저자는 왜 자신이 산후정신증에 걸렸는지를 찾아가기 시작한다. 과거에 겪었던 일들을 회상하면서.
어린 시절 그의 아버지는 강압적이었다. 분노가 폭발하면 이성을 잃었다. 그런데 아버지의 분노는 유달리 저자의 남동생인 테디에게 향했다. 아들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아버지가 그렇게 행동한 것은 아닐까. 그는 “(아버지는) 테디가 아들이기 때문에 기대를 걸고 있었는지도 모른다”고 고민한다.
시간이 흐른 뒤 현재의 남편 제임스를 만났다. 제임스는 좋은 남자였다. 그와 결혼을 했고 아이를 가졌다. 병원에서 아이가 아들이라는 사실을 들었다. 드류가 생각났다. 이 아이가 혹시 폭력적인 남성으로 변해가면 어떻게 할까. 그때부터 정신적으로 힘들어한다. 아들을 낳자 결국 아들의 눈에 악마가 보인다는 망상에 빠진다.

그는 산후정신증의 원인을 명확히 밝히진 못한다. 자신의 경험을 고백할 뿐이다. 어쩌면 아들에게 지나치게 기대하는 아버지에 대한 생각이 그를 힘들게 했을 수도 있다. 폭력적인 남자친구에 대한 고통이 그를 아프게 했을지도 모른다. 한국의 남아선호사상이 문제였을지도 모른다. 산후정신증은 아이를 지닌 모든 여성이 겪을 수 있는 잠재적 위험일지도 모른다.
중요한 건 원인보다 치유의 과정일 수도 있다. 그의 남편은 그의 곁을 끝까지 지켰다. 망가진 그의 삶을 되돌린 건 곁에 있는 남편이었다. 그는 책 말미 남편 제임스를 향해 감사의 마음을 고백한다. “당신은 과거에도 그랬고 지금도 나의 닻이다. 내 곁을 지켜주고, 병원에서 나와 춤을 춰주고, 내가 당신의 사랑 안에서 언제나 안전하다고 느끼게 해준 것에 감사한다.”
이호재 기자 hoho@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광화문에서/김지현]“더이상 지지할수 없는 이유” 민주당에 등돌린 2030
김근식 “대통령님, K방역 우려먹지 말고 K백신 말하십시오”
“김어준, 교통방송서 퇴출해라” 靑 청원, 사흘 만에 14만 명 돌파
吳 "서울형 상생방역…자가진단 키트 노래방 시범도입”
민심 경고에도 文 국정 마이웨이…지지율 최저 경신
노무현의 사람 냄새 사라진 문재인 청와대 [최영해의 폴리코노미]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