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연금특위 산하 민간자문위는 최근 1박 2일간 비공개 토론을 벌였다. 근로자 소득의 9%인 보험료율을 단계적으로 15%로 올리면서 생애 평균소득 대비 연금액, 즉 소득 대체율을 현재와 같은 40%로 놔두는 안, 보험료율을 15%로 올리면서 대체율을 각각 50%, 45%로 높이는 안, 보험료율은 12%까지만 올리고 대체율은 30%로 낮추는 안을 놓고 전문가들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고 한다. ‘더 내고 그대로 받기’ ‘더 내고 더 받기’ ‘덜 내고 덜 받기’ 등 지금까지 제기된 여러 주장이 여전히 평행선을 그리고 있는 셈이다.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잘 아는 전문가들조차 의견을 모으지 못할 경우 개혁에 힘이 실리기 어렵다. 민간자문위가 국회에 복수 안을 제출한다면 여야가 각자 이해에 맞는 방안 쪽 손을 들어주며 충돌해 특위 시한인 4월 말까지 합의가 어려워질 수 있다. 이렇게 논의가 한번 틀어지고 나면 정부가 10월 말까지 별도의 자체 개혁안을 제시한다고 해도 국회가 이에 동의할 가능성은 낮아지게 된다. 문재인 정부가 2018년 4개의 복수 안을 국회에 제시하고 사실상 손을 놔버린 것처럼 개혁 논의 자체가 물거품으로 돌아가는 일이 또 벌어질 수 있다.
민간자문위는 다음 주 다시 회의를 열어 국회에 보고할 개혁초안 합의를 시도한다. 이번 회의에선 밤샘 회의를 해서라도 단일 안의 큰 가닥을 도출해야만 한다. 힘들여 맞은 연금개혁의 기회를 무산시키고, 미래 세대의 짐을 더 키우는 일은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