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철강 등 업무명령 확대 검토… 민노총 “6일 전국동시다발 파업”
서울지하철 협상 한밤 극적 타결… 파업 하루만 오늘부터 정상 운행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30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2차 교섭을 가졌지만 파업 쟁점인 안전운임제를 두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고 교섭 50분 만에 결렬됐다. 교섭 10분 만에 고성이 터져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국토부는 “서로의 입장이 확고했다”고 했고, 화물연대 측은 “정부가 대화의 의지가 전혀 없다”고 했다.
파업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며 산업계 피해가 커지자 정부는 시멘트에 이어 피해가 큰 정유 철강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업무개시명령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서울 한 시멘트 운송업체 현장조사에서 “(시멘트 외 다른 분야에서도) 위기 임박 단계가 진행됐다고 판단된다면 언제든 주저 없이 추가 운송개시명령을 발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29일 기준 전국 주유소의 재고는 휘발유가 8일분, 경유는 10일분가량인 것으로 파악됐다.
민노총은 30일 긴급 임시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3일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고 6일 전국 동시다발 총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민노총은 쟁의권이 있는 사업장에서 파업을 벌이고 조퇴와 휴가 등을 동원해 준법투쟁을 병행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 노조 총파업이 벌어진 30일 시민 피해가 컸다. 서울시가 대체인력을 투입해 출근대란은 피했지만 퇴근시간대(오후 6∼8시) 대체인력이 줄어 열차 운행률이 평시의 70∼85%에 그치면서 열차가 최대 30분 이상 지연됐고 일부 역에서는 개찰구 밖까지 줄을 서는 등 큰 혼잡이 빚어졌다. 하지만 진통 끝에 1일 0시경 노사 협상이 타결되면서 1일부터 서울 지하철 운행이 정상화하게 됐다.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사지원 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