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전부터 정책 당국자들이 “묘책이 있다면 왜 안 내놨겠느냐”라고 실토할 정도여서 시장의 기대가 크지 않았는데 역시 뾰족한 대책은 없었다. 공공임대, 매입임대 활용, 중산층이 거주할 만한 30평형대 공공임대 조성 등은 ‘전세난민’ 수요 충족에 역부족으로 확인된 방안들이다. 호텔방을 개조한 5∼6평짜리 원룸주택은 ‘1인 청년가구’에게 일부 도움이 되겠지만 정상적인 생활형 주택으로 볼 순 없다.
맹탕 전세대책이 나온 건 전세 불안의 원인을 엉뚱한 데서 찾는 정부 여당의 태도 때문이다. 이날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전세난의 주요 원인이 ‘기준금리 인하’와 ‘1인 가구 수 증가’ 탓이란 주장을 되풀이했다. 전세시장은 100% 실수요로 작동하는 시장이다. 금리가 낮다는 이유로 세입자들이 좋은 전셋집을 잡기 위해 ‘빚 경쟁’을 한다는 정부의 설명은 난센스다. 이번 전세대란은 신규·전세 아파트 공급이 부족한데 재건축 실거주의무 강화, 다주택자 증세(增稅)로 인한 증여 증가로 전세 공급이 더 줄었고, 임대차 3법으로 눌러앉은 세입자까지 많아지자 몇 안 남은 전셋집을 차지하려고 세입자끼리 경쟁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文대통령 1등공신 윤석열, 文의 최대 정치적 라이벌 되다
윤석열 사퇴 “어떤 위치에 있든 자유민주주의-국민 지키겠다”
실패로 끝난 ‘윤석열 발탁’…맥못춘 당정청, 원인은 어디에?
[단독]尹 “국가사법시스템 망가뜨리려 하는데… 내가 관둬야 멈출 것”
은행장 중징계, 사단장은 해임, 변창흠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