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따라잡기]FRB, 내년 금리 최고 0.75%P 내린다

  • 입력 2000년 12월 6일 14시 39분


세계경제의 '예방 주치의' 앨런 그린스펀이 다시 입을 열었다. 그의 세치혀로 미국증시는 급등세로 반전됐으며, 세계증시의 동반강세를 격발시키고 있다.

그러나 그린스펀 FRB의장이 5일 미국지역 은행가회의에서 행한 발언을 자세히 살펴보면 직접적으로 "연방기금(FF) 금리를 인하하겠다"는 표현은 없다.(오전 9시9분 그린스펀 연설 원문 참조)

언제나 그렇듯이 그는 삥 돌려말하기를 좋아한다. 그의 직접적인 발언이 세계증시와 금융시장에 엄청난 파장을 몰고올 것을 우려, 언제나 암시적으로 말한다. 그러다보니 '그린스펀 수사학'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이며, 그린스펀의 '세치혀'를 잘 분석해야 유능한 애널리스트로 인정받는다.

이날 그린스펀의 발언 요지는 이렇다.

"인플레 우려는 배제할 수 없지만 경기하강 속도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 특단의 조치를 취할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FRB는 급격한 경제성장의 둔화를 경계하며 경제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이같은 발언을 시장이 '금리인하를 암시한 것'으로 해석한 것이다.

시장으로서는 당연한 반등이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경기과열과 이에따른 인플레의 압력 고조, 노동시장의 경색을 우려하며 증시에 '견제구'를 던지던 것과는 엄청난 차이를 보인 때문이다.

이제 그린스펀이 금리인하라는 '특단의 조치'를 언제,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취하느냐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와 관련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들은 통화정책의 변경 이후 금리인하를 점치고 있다. 오는 19일 열리는 올 마지막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재의 '긴축' 정책을 '중립(neutral)'로 빠꾼 뒤 시장의 동향을 살펴 금리인하 시기와 인하폭을 결정할 것이라는 관측이 주류를 이룬다.

다음은 주요 증권사 및 경제전문 기관들의 그린스펀 발언 관련 해석 및 금리인상 시기-수준 전망이다.

◆메릴린치=메릴린치는 FRB가 오는 19일 통화정책을 중립기조로 바꾸고 내년 1분기중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 메릴린치는 그린스펀 의장이 주식시장이 '비정상적이고도 놀라운 이득에서 후퇴했음을 목격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최근의 환경이 러시아 디폴트선언에 따른 지난 98년때와 비교할 만한 것은 아니라고 언급, 현재 상황은 위기가 아닌 다만 성장률이 둔화되는 상황임을 분명히 했다.

◆살로만스미스바니=경기 연착륙의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린스펀 의장이 미국경제가 침체에 이를 때까지 좌사하지 않을 것임으로 '선언'한 것이라며 이로써 경기 연착륙의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SSB는 오는 19일 회의에서 통화정책을 중립으로 변경하고, 이후에도 각종 경제지표가 약세로 나올 경우 내년 1월30∼31일까지 이틀 동안 열리는 회의에서 금리는 내릴 것으로 보았다.

◆크레디 스위스 퍼스트 보스톤(CSFB)=FRB가 내년 한햇동안 금리를 0.75% 끌어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몇달간 실업률 증가세가 뚜렷할 경우 내년 1분기말에 첫 금리인하가 단행되는 등 3분기까지 총 0.75%포인트 수준의 금리인하가 단행될 것이란 관측이다.

CSFB는 이와함께 최근 발표되는 경제지표의 약세를 근거로 내년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의 4%에서 2.8%로 하향조정했다.

CSFB는 그러나 "미국경제에 경기침체(recession)의 조짐은 없다"고 강조했다.

◆오브레이&랭스턴 이코노미센터=이 기관은 미국경제가 다시 활력을 되찾을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이 기관은 FRB가 내년 3월부터 연말까지 연방금리를 0.75%포인트 낮출 것으로 분석했다. 이곳의 데이비드 존스 수석 경제학자는 "미국경제가 경착륙하고 있다는 일반의 우려를 씻어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데이비드 위스(S&P 소속 이코노미스트)=그린스펀은 미국경제가 경착륙할 리가 없다는 것을 만천하에 공언한 것이다.그린스펀이 조지 부시 당선자에게 FRB가 현재 제 기능을 잘 하고 있음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앨런 사이나이(디시전 이코노믹스 소속 경제학자)=과거와 같이 그린스펀은 신중하고도 사려깊은 판단을 했다. 그린스펀은 중앙은행이 통화정책 기조를 바꾸면서도 시장에 주는 영향을 크게 줄였으며, 정책의 유연성도 아울러 확보했다.

방형국<동아닷컴 기자>bigjob@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