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은행주 11월 주도주 부상 관심…하나 한미 조흥 등 주목

  • 입력 2000년 10월 30일 11시 58분


은행주들이 11월의 주도주로 부상할 것인가.

이번주까지 은행경영평가위원회에서 금융지주회사에 편입될 은행들을 발표하고 하나와 한미은행간 합병이 공식발표되는 등 은행구조조정이 급물살을 타면서 은행주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여기다 반도체 정보통신 등 기술주들의 약세가 계속되고 있어 은행주들이 이들을 대체하면서 11월 장세를 주도할 것이란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최근 내년도 경제성장률 둔화와 가계와 기업대출 감소 등 중장기적으로 은행수익성을 악화시킬 지표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적어도 은행구조조정에 대한 가시적 성과가 나오는 11월 한달동안은 은행주들이 시장수익률을 초과할 것이라는 입장이 대다수 증시전문가들의 견해다.

이같은 견해를 반영하듯 11시 50분현재 은행업종지수는 전일보다 4.06 %상승하고 있다. 하나 한미 조흥 외환 주택 국민은행 등이 일제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증시전문가들은 은행경영평가위원회에서 금융지주회사에 편입되지 않고 조건부 독자생존을 인정받을 조흥 외환은행 등과 11월중에 합병을 성사시킬 하나 한미은행 등이 단기시세를 표출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이재호 미래에셋증권 은행업종 애널리스트는 "중장기적으로 보면 은행주들의 상승을 억제하는 요인들이 많다"고 인정하면서도 "단기적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구조조정 노력과 맞물리면서 은행주들이 시장을 주도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기업과 은행구조조정지연에 대한 외국인의 불만과 금융감독원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사회적 지탄 등을 무마하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은행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할 수 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은행주들에 대한 국내외 투자자들의 관심이 고조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조흥, 외환은행과 하나, 한미은행을 투자유망한 종목으로 추천했다. 그는 "조흥과 외환은행은 조건부 독자생존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할 때 감자비율을 소액투자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결정할 것으로 보여 단기시세를 낼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즉 증시에 알려진대로 1400원대인 외환은행이 2대 1의 비율로 감자된다면 소액투자들은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이 애널리스트는 또한 "하나와 한미은행간 합병은 어떤 형태로든지 11월중에 성사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 두 은행도 우량은행간 합병사례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것이다"고 주장했다.

김도현 삼성증권 투자분석팀 선임연구원도 은행주들이 11월장세를 주도할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반도체 정보통신주가 약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에서 은행주들이 시장의 대안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며 "하나 한미 등 합병예정은행과 조흥은행 등을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주택 국민 등 우량은행은 상대적으로 시세를 얻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이 두 은행은 하나와 한미은행간 합병이 성사된후 2차 우량은행간 합병대상을 거론되기 때문에 시장의 관심대상으로 부상하려면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모건스탠리딘위터증권(MSDW)도 국민과 주택은행이 상승여력이 많다고 추천했다. 경제성장률 둔화와 가계와 기업대출 감소 등 은행실적을 악화시킬 요인들은 현주가에 이미 반영됐다며 23000원(국민)과 43000원(주택)에 강력매수추천했다.

이들과 달리 은행합병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매도하라는 견해도 있다. 구경회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은행합병에 대한 기대감으로 5월이후 은행업종은 시장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올렸기 때문에 합병이 발표되면 매도하라"고 주장한다.

5월초부터 10월 27일까지 종합주가지수는 34%하락했지만 은행업종지수는 3.34% 상승했다. 구 애널리스트는 또한 "11월초 채권단에서 발표될 부실기업명단에 현대건설 동아건설 쌍용양회 등 대표적인 한계기업들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은행권은 추가잠재부실을 앉게 돼 50조원 규모의 공적자금 투입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내년도 경제성장률 둔화로 다수의 한계기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은행주의 상승발목을 붙잡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렇지만 구 애널리스트도 은행합병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이같은 악재가 부각될 가능성은 적다고 인정하고 있다.

박영암 <동아닷컴 기자> pya8401@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