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급-제적’ 공지에도 꿈쩍 않는 의대생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13일 03시 00분


대학들, 이달 말까지 복귀 독려
의대생들 “졸업 늦다고 급할건 없어”
교육부 “학생 의견 수렴” 발표와 달라
“소통해 도출한 정책 맞나” 비판 나와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또는 유급 처리를 시사했다. 사진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25.03.13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정부의 내년도 의대 정원 동결에도 불구하고 의대생들의 집단행동이 계속되는 가운데, 연세대에 이어 서울대와 고려대 의대도 미복귀 학생에 대한 제적 또는 유급 처리를 시사했다. 사진은 12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25.03.13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정부가 이달 말까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동결한다고 발표한 지 12일로 5일째를 맞았다. 연세대 의대가 24일까지 등록금을 내지 않고 휴학을 신청한 학생에 대해 제적처리 방침을 밝힌 데 이어 다른 대학들도 학칙에 따라 이달 말까지 미복귀 시 유급 및 제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12일 각 대학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는 이번 주부터 학장과 교수 등을 동원해 학생 상담을 진행 중이다. 대학들은 학생들에게 이달 말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출석 일수 미달로 자동 F 학점 부여 및 유급 처리되는 점과 미등록 시 제적되는 점 등을 안내하고 있다.

의대생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한 의대생은 “모집인원 동결은 2026학년도 한 해라 눈속임일 뿐 필수의료 패키지를 철폐하지 않았다”며 “이번에 복귀하면 다시는 휴학을 못 하게 막을 것으로 보여 끝까지 버텨야 한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의대생은 “인턴을 (기존 1년에서) 2년으로 바꾼다는데 더 버티는 게 맞다”며 “늦게 졸업한다고 급할 건 없다. 오히려 (의료 인력이 배출 안 되니) 정부가 급하다”고 말했다.

7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각 의대 학장과 총장들이 조건부 동결안을 발표하며 “(2026학년도 모집인원 동결 시 복귀에 대한) 학생들 의견을 수렴했고 반드시 돌아올 것”이라고 설명한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이처럼 의대생들이 버티기에 나선 데에는 ‘대학과 정부가 전국의 미복귀 의대생에 대해 유급과 제적을 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는 인식 때문이다. 한 의대생은 “정부와 대학은 24, 25학번이 올해 수업을 이수하지 못해 내년에 (26학번까지) 트리플링되는 상황은 감당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며 “2년 연속 의료 인력이 배출되지 않으면 병원에 직격탄인데 상반기 내에 대책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했다.

학부모들도 학생들의 수업 거부를 지지하는 분위기다. 제적 조치를 안내한 일부 대학에 항의하는 학부모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부모들은 “연세대가 미등록 후 휴학 신청하면 제적한다고 해서 학장실에 전화로 항의했다” “정부가 의대생 대하는 행태가 괘씸해서 안 돌아간다” “2026학년도 모집인원은 0명이 맞다” 등을 주장하는 중이다.

앞서 이 부총리는 7일 발표 당시 “학생들과 긴밀하게 나눈 소통에 기반해 오늘의 발표가 나온 것인 만큼 학생들이 돌아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학생들의 미복귀 움직임에 일각에서는 “의대생과 소통해 도출한 정책이 맞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양오봉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장(전북대 총장)은 “의대 학장과 교수들이 의대생과 면담을 통해 모집인원을 동결하면 돌아올 명분에 단초가 되지 않겠느냐는 확신을 가지고 제안한 것”이라며 “출석 일수 4분의 1 선이 되는 날 돌아와도 F 학점이라 다음 주부터는 돌아오려는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 역시 “아직 눈치를 보는 것일 뿐 이제 돌아와야 한다는 분위기가 점점 만들어지고 있다”고 했다.

#유급#제적#의대생#의대생 복귀#의료 인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