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동 국장, 감사원장 탄핵심판서 1차 경고에도 질문과 다른 답변
文 재판관 “묻는 것만 답하라…충성심 증명 자리 아냐”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입장하고 있다. 2025.2.11 뉴스1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12일 열린 최재해 감사원장 탄핵 심판 변론기일에서 질문에 맞지 않는 대답을 하는 증인을 강하게 제지했다.
헌법재판소는 이날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최 원장의 탄핵 심판 1차 변론기일을 열었다.
국회 측과 최재해 감사원장 측은 증인으로 출석한 김태우 산업금융감사국장과 김숙동 감사원 특별조사국장에게 국무총리의 감사 청구권 부여를 추진하는 감사원법 개정과 서해 공무원 피격 당시 상황에 대해 질문했다.
이날 증인 신문 과정에서 김숙동 국장은 초반부터 “의미가 없는 질문”이라고 답변하는 등 국회 측에 날 선 태도를 보였다.
김 국장은 ‘서해 피격 공무원과 관련해 검찰이 3개월 전부터 수사 중인데 뒤늦게 수사 요청을 한 이유가 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감사가 종료된 타이밍이라 한 것”이라며 “‘뒤늦게’라는 표현은 감사원이 계산적으로 한다는 것이냐, 그렇게 일 안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국장은 “서해 피격 공무원 감사는 공익적 목적에서 한 것이고 감사원이 헌법에서 부여한 국민적 책임·소명이며 당연히 해야 할 역할”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국회 측은 “증인이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고 하고 싶은 말을 기재해 와서 읽고 있다”고 반발했다.
급기야 이어진 신문에서 김 국장이 “제가 자료수집해 보니 사실관계 은폐·조작이 포착됐고, 그 와중에 유가족의 감사 요구가 있어 감사원 입장에서는 이런 중차대한 내용을 소상히 조사해 진실을 국민에게 알린 것”이라며 질문과 다른 답을 하자, 문 대행은 “묻는 것에만 대답하라”고 제지에 나섰다.
1차 경고에도 김 국장이 수긍하지 않고 말을 이어가자 문 대행은 “재판 진행은 제가 하는 것이다. 그렇게 답하라고 권고하면 그걸 받아들이는 게 우선”이라며 “여기는 증인의 충성심을 증명하는 자리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앞서 국회 측은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에 대한 표적 감사 의혹 △대통령실·관저 이전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감사 미실시 △국정감사 발언 △서해 공무원 피격 사건 관련 보도자료 배포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 감사 등에서 감사원장으로서의 직무 위반 등을 이유로 최 원장을 탄핵 소추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