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동물’ 서로 옮길 수 있고, 발열-두통-근육통-오한 증상
확진자의 동거인 등 21일간 격리… WHO “공기 통한 확산 배제 못해”

주요 감염 경로는 혈액, 체액, 피부 병변 부산물, 바이러스에 오염된 옷과 침구류 등이다. 사람 간 감염은 주로 증상이 있는 사람과의 신체접촉으로 이뤄지는데, 아직까지는 전파력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공기 중에 떠 있는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 전파 가능성 역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다른 감염병보다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아직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반론도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원숭이두창이 공기를 통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원숭이두창에 감염되면 딱지가 떨어질 때까지 격리 입원해 증상에 따른 치료를 받아야 한다. 전용 치료제는 없고, 항바이러스제 테코비리마트와 면역글로불린 등이 효과를 보인다. 대부분은 자연 치유된다. 방역당국은 앞으로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증상을 보인 지 21일 이내에 접촉한 동거인, 성접촉자 등 고위험군을 21일 동안 격리하기로 했다. 예방을 위해선 발생 지역 방문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과 손 씻기 등 기본 방역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WHO는 원숭이두창 치명률을 3∼6% 정도로 보고 있다. 하지만 한국처럼 의료체계가 잘 갖춰진 국가에선 치명률이 1% 미만에 머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실제 원숭이두창 사망자 대부분은 중서부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다.
유근형 기자 noel@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