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최초 전기차 2만대 돌파
신재생에너지 점유율 전국 최고 수준
“세계 배터리 산업의 길잡이 역할할 것”

제주도가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을 100%로 끌어올리고 도내 자동차의 75%를 전기차로 바꾼다는 목표를 세운 건 2012년. 그린뉴딜 정책을 굉장히 일찍 시행한 셈이다. 제주의 전력 사용량 중 신재생에너지 점유율은 지난해 기준 14.4%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전기차는 올 8월 지방자치단체 중 처음으로 2만 대를 돌파했다.
‘그린뉴딜 프런티어’로 자부하는 제주도가 그린뉴딜 핵심 사업으로 선택한 것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이다. 제주도는 지난해 6월 국내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를 만들었다. 전기차에서 사용한 배터리를 재사용하거나 재활용하는 방안을 만들기 위한 거점이다.
제주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는 반입된 배터리의 잔존가치 등 성능을 평가해 분류한 뒤 사용할 수 없는 배터리는 분해해 금속을 회수한다. 전기차 배터리에는 니켈과 코발트, 망간 등 희귀 금속이 포함돼 있다. 이를 그냥 버리면 환경이 오염되지만 제대로 회수하면 원재료로 다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쓸 수 있다고 평가받은 배터리는 재사용을 위해 다시 제조한다. 배터리 초기 용량이 70∼80% 이하로 떨어지면 주행 거리가 줄고 충전 속도가 느려져 자동차에 사용하기는 무리다. 하지만 소형 기기의 배터리나 에너지저장장치(ESS·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게 하는 장치)로 활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현재 제주 전기차 배터리 산업화센터는 배터리를 ESS로 만들어 가로등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또 전기스쿠터와 농기계 운반차량의 소형 충전기로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아직까지 배출량이 거의 없어 이를 활용할 산업 자체가 걸음마 단계다. 국제적으로도 배터리 재사용에 대한 표준 체계나 안전성 문제 관련 가이드라인이 없다. 재사용 배터리를 상용화하려면 관련 규제나 법을 개선해야 하는 점도 숙제다. 전문가들은 이 부분을 빨리 해결해야 향후 전 세계 배터리 산업을 선도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한국전기자동차협회장인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전기차 배터리가 본격적으로 쏟아지기 전에 배터리 산업이 제대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제주도는 조례 등을 제정해 배터리를 활용한 제품을 먼저 상용화하고, 정부는 제주도가 만든 제품을 모니터링하며 적극적으로 관련 법과 규제를 개선해 배터리 산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은지 기자 kej09@donga.com
서울시청 직원 게시판에 “김어준 퇴출해야” 글 잇달아
[김형석 칼럼]‘유권 정의, 무권 불의’ 시대
[오늘과 내일/홍수용]김상조의 실책이 ‘내로남불’뿐인가
진중권 “선동가 된 서민, 우리사이 끝”→ 서민 “죄송, 정권 바뀔 때까지는”
박영선 고배 들이켜게 한 여권 인사 5인
‘검찰 선배’ 與조응천, 이성윤에 “조사받고 지시하든가 말든가”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