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고립 자초하는 민주노총 강경파

  • 입력 2005년 2월 2일 18시 03분


코멘트
그제 열린 민주노총 임시 대의원대회가 계파 간의 폭력사태로 번져 노사정(勞使政)위원회 복귀 여부에 대한 표결이 또 무산됐다. 이수호 위원장이 이끄는 지도부의 ‘사회적 교섭’, 즉 ‘노사정 대화’ 복귀 시도가 강경 반대파의 난동과 단상점거에 휘말려 두 번이나 실패한 것이다. 평화적 찬반 토론과 표결이라는 민주 절차를 저버리고 단상에 시너까지 뿌리는 모습은 노동운동의 변화를 바라는 국민을 거듭 실망시켰다.

민주노총은 6년 전 노사정위를 탈퇴한 뒤 대화와 타협이 아닌 파업 등 물리적 힘을 통한 투쟁을 일삼았다. 이 때문에 ‘죽도록 파업하는 나라’라는 이미지가 굳어지고 노사관계가 더 불안해졌으며 ‘국내외 자본이 한국 내 투자를 꺼리고, 고용을 하더라도 비정규직을 늘리는’ 현상이 심화됐다. 민주노총의 과격한 투쟁이 일자리 불안, 더 나아가 복지 불안을 키운 셈이다.

이러니 민주노총을 따뜻한 눈으로 바라볼 국민이 많을 리 없다. 결국 국민적 지탄을 받은 끝에 파업이 실패로 끝나는 사례가 늘고, 강경노선에 대한 회의(懷疑)가 노조원들 사이에 번졌다. 그런 가운데 비교적 온건한 이수호 위원장 체제가 1년 전에 출범한 것이다.

비정규직 법안 등 노동현안을 장외투쟁이 아닌 노사정 대화를 통해 풀려는 현 집행부의 생각은 옳다. 국민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도 그렇고, 민주노총 자체의 존립을 위해서도 그렇다. 그런데도 강경파 그룹이 적법절차를 통해 다수의 지지를 받아 선출된 현 집행부의 발목을 잡으면서 ‘사회적 교섭’을 계속 거부한다면 민주노총의 위기는 증폭될 것이다. ‘대화를 통한 노사 공존’에 반대하는 강경파가 득세한다면 민주노총은 국민 속에서의 고립을 면하기 어렵다. 또 민주노총이 대외투쟁 강화를 통해 내부의 모순을 덮으려 한다면 결코 성공할 수 없다.

민주노총은 한시라도 빨리 평화적 절차로 노사정 대화 복귀를 결정하고, 경제 살리기와 노노(勞勞)간 양극화 완화를 위한 노사관계 법제도 선진화 작업에 협조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민주노총이 위기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