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은혜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구두 논평을 통해 “그 긴 3·1절 기념사에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한 언급은 단 한 번도 없다”며 “일본 정부가 끝났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더니, 피해자인 우리가 먼저 끝내자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과거를 직시하지 않고는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는 문 대통령의 3·1절 기념사가 불과 1년 전”이라며 “문재인 정부는 위안부 문제와 징용에 대해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와 반성이 이뤄졌다고 보는 건가”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불행한 과거마저 현재를 위해 활용하는 정권에는 신뢰가 갈 수 없다”며 “오늘도 빼놓지 않는 K방역 자화자찬과 뜬금없는 북한의 방역협력체 참여를 촉구한 대통령에게 일제 치하에서 겪었던 고통과 희생을 기리고 아직 치유되지 않은 아픔을 보듬는 3·1절의 의미를 다시금 상기시켜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언제나 피해자 중심주의의 입장에서 지혜로운 해결책을 모색할 것”이라며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해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기념사의 상당 부분을 코로나 위기 극복 메시지에 할애했다. 그는 “오늘 우리가 코로나를 이겨내고 있는 힘이 100년 전 우리 의료인들의 헌신과 희생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매우 자랑스럽다”며 “우리는 성숙한 민주주의의 힘으로, 코로나 위기 속에서 방역과 경제의 모범을 만들어왔고, ‘K-방역’의 성과와 경험을 세계와 공유하고 있다. 개도국과 보건 취약 국가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진하 동아닷컴 기자 jhjinha@donga.com
[송평인 칼럼]가짜 진보 몰아낼 3년의 시작일 뿐인데…
윤희숙 “백신 장담하고 사라진 정세균…국민이 얼마나 만만하면”
왜 정부는 전체 국민 백신접종률을 발표하지 않을까[이진구기자의 대화, 그 후- ‘못다한 이야기’]
이준석 “내가 차마 말 못했는데 김종인 ‘주호영, 安과 작당’ 정확했다”
이성윤 기소 ‘키’ 쥔 조남관 총장 권한대행의 최종 결정은?
초선 김웅, 국민의힘 당대표 여론조사 ‘깜짝 2위’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