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용인들에게 동아무용콩쿠르는 꿈 그 자체입니다. 너무 큰 상이라 얼떨떨하네요. 초심을 잃지 않고 겸손하게 춤추는 무용인이 되겠습니다.”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26일 열린 제52회 동아무용콩쿠르 본선에서 일반부 남자 한국무용 전통부문 금상을 수상한 김한길 씨(23·한국체대 4년)가 말했다.

김 씨는 지난해부터 동아무용콩쿠르 일반부 한국무용 전통부문에 신설된 강선영상도 받았다. 중요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보유자였던 강선영(1925∼2016)을 기리는 상으로, 남자 및 여자 금상 수상자 중 고득점자에게 수여한다.
한국전력 후원으로 열린 이번 콩쿠르는 지난해와 같이 참가자와 동반자가 무대 안전교육을 이수한 뒤 진행됐다. 심사위원 명단과 본선 채점표는 동아무용콩쿠르 사이트(www.donga.com/concours/danc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콩쿠르 실황 동영상도 추후 이 사이트에 공개한다.
수상자 명단
◇일반부 ▽한국무용 전통(여) △금상 박소영(한예종 졸) △은상 김은빈(한예종 4년) △동상 허온(중앙대 3년) ▽한국무용 전통(남) △금상 김한길(한국체대 4년) △은상 이승훈(한양대 4년) △동상 허종근(한예종 졸) ▽한국무용 창작(여) △금상 이한비(이화여대 졸) △은상 김소연(한예종 4년) △동상 박희주(성균관대 4년) 김민선(이화여대 졸) ▽한국무용 창작(남) △금상 최재원(한예종 졸) △은상 서상원(성균관대 4년) △동상 김규년(한예종 4년) ▽현대무용(여) △금상 서수련(단국대 4년) △은상 이유진(경희대 4년) △동상 최지은(세종대 3년) 구민지(이화여대 3년) ▽현대무용(남) △금상 김민수(계명대 3년) △은상 조현우(세종대 2년) △동상 김범진(단국대 4년) ▽발레(여) △은상 이소정(한예종 3년) △동상 김아현(경희대 3년) ▽발레(남) △금상 전민철(한예종 1년) △은상 유주형(한예종 1년) △동상 배상은(한예종 1년)
◇고등부 ▽한국무용 전통 △금상 김병찬(판곡고 3년) △은상 진윤주(국립전통예고 3년) 김상아(고양예고 3년) ▽현대무용 △금상 김민솔(서울예고 2년) △은상 조인영(동탄중앙고 3년) △동상 조정익(부산예고 3년) ▽한국무용 창작 △금상 손예솔(선화예고 2년) △은상 배서연(서울예고 3년) △동상 정우진(서울예고 3년) ▽발레 △금상 문정우(선화예고 2년) 손민지(서울예고 3년) △동상 김수민(선화예고 3년)
◇중등부 ▽발레 △금상 이세령(예원학교 3년) △은상 방수혁(선화예중 3년) 손민균(선화예중 3년) △장려상 박윤재(계원예중 2년) 오서진(예원학교 3년) 유다영(선화예중 3년) 서민준(예원학교 3년) 이채은 (예원학교 2년) 홍태이(예원학교 3년) 유은수(대안여중 2년)
◇초등부 ▽발레 △금상 정아라(미사강변초 6년) △은상 홍수림(서울월촌초 6년) △동상 박큰별빛(솔뫼초 6년) △장려상 이정은(서울양명초 6년) 최은유(신길초 6년) 정지우(망월초 6년) 김선이(서울답십리초 6년) 김리원(광주교대부설초 6년) 주민호(호평초 6년)

김정은 기자 kimj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