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근배의 神品名詩]청자모자원형연적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0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청자모자원형연적 ―신중신(1941∼ )

마음 함께 비취빛이었을
고려적 웬 사내
햇볕 좋은 봄날
전대미문의 연적 하나를 구워냈다네.
그의 심성 익살궂었던지
사철 양반네 머리맡에 놓일 그것
그 시늉만으로도 헤살질이 진득 묻어나는
앙증맞은 잔나비상을,
사내 심사 또한 따스하여
그것도 새끼 보듬은 원숭이 모양을,
애오라지 천연스럽고 정감 하나인
저 청자모자원형연적을 구워냈다네.
─저것 보아, 저것 좀 보아!
어미 정수리로 부어넣은 물이
새끼 뒤통수께로 흘러나와
먹물을 간다 미소가 번진다
삼짇날 저물녘, 비색(翡色) 이내 같은 것이 설핏한가 싶더니
남녘마을 선비 마음을 적셔
인연 굽이굽이 강물 짓느니.


해 달 별 하늘 구름 꽃 새 바람…, 내 겨레말씀 어느 것 하나 곱고 어여쁘지 않은 것 있으랴만 그 가운데 우주를 담아내고도 남는 말씀이 ‘어머니’다. 이청준은 “어머니라는 말만 들어도 눈물이 난다”고 했는데 이는 그만의 것이 아닐 것, 그렇지 않은 이 누가 있겠는가. 사람뿐이랴. 날짐승 들짐승도 제 새끼 거두고 기르는 데는 목숨 다할 때까지 힘 쏟는 것을.

선비들의 안상에서 벼루와 짝하여 물을 담아두고 쓰는 연적은 해태 잉어 개구리 오리 거북이 등 길상의 동물들이 많은데 12세기에 구워진 ‘청자모자원형연적’은 원숭이가 아기를 안고 둥개둥개 다독이고 아기의 한 손은 어미 젖가슴에 한 손은 볼을 어루만지며 사랑짓을 하고 있다. 어머니는 왜 위대한가. 품에 안을 아이가 있기 때문이다.

연적에서뿐이 아니라 고려시대의 벼루, 그림 등에 원숭이가 자주 나오는 까닭은 원숭이 후(후)자와 제후를 뜻하는 임금 후(侯)자가 발음이 같아서 대대로 큰 벼슬을 누리고 산다는 ‘배배봉후(輩輩封侯)’를 지향하는 뜻을 담고 있어서이다. 그래서 고려의 귀족들은 뜰 안에 원숭이를 들여 애완하였다니 깜찍하면서도 사랑스럽기 짝이 없는 이 어미와 새끼의 형상을 왜 연적으로 빚었는가를 알겠다. “─저것 보아, 저것 좀 보아!/어미 정수리로 부어넣은 물이/새끼 뒤통수께로 흘러나와/먹물을 간다 미소가 번진다” 시인은 고려 어느 제후나 시인 묵객이 이 신품의 연적에 물을 따라 먹을 가는 모습을 떠올리며 얼굴 가득 웃음을 지었으리라. 어미 원숭이가 된 듯 그렇게.

이근배 시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