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동아일보|오피니언

[사설]줄줄이 늦춰지는 한반도 시간표, 金 답방 조바심 낼 이유 없다

입력 2018-11-19 00:00업데이트 2018-11-19 00:00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7일 파푸아뉴기니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을 받았다”며 “내년에 시간을 내서 방북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올해 김정은의 세 차례 중국 방문에 대한 답례로 시 주석의 연내 방북이 점쳐졌지만 내년으로 미룬 것이다. 앞서 러시아 크렘린궁도 최근 김정은의 방러가 내년에 가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중, 북-러 간 연내 정상회담은 일찍이 문 대통령이 전망한 한반도 외교 시간표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초 “2차 북-미 정상회담과 별도로 조만간 김 위원장의 방러와 시 주석의 방북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4차 방북 직후 북-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 전망이 나온 데 따른 기대감의 반영이었다. 하지만 북한 고위 인사의 방미가 취소되고 북-미 협상이 다시 교착에 빠지면서 시간표는 재조정될 수밖에 없게 됐다.

한중 정상은 회담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김정은 서울 답방이 중대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한반도 문제의 해결 시점이 무르익었다”는 데 공감했다고 한다. 실제로 북-미 협상의 진전 분위기도 엿보인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북한에 핵 폐기 계획을 요구하면서도 “2차 회담 전에 핵 신고를 요구하진 않겠다”고 유연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북-미는 여전히 대북제재 완화를 놓고 대립하고 있다. 중국 러시아는 물론 한국도 제재 완화 요구에 동참했지만 미국은 꿈쩍하지 않고 있다. 결국 북-미 정상 간 타협을 통해 비핵화 프로세스를 본궤도에 올리지 않고서는 한반도 문제의 해결은 요원하다. 그런 인식 아래 한중 정상은 북-미 양국 정상을 향해 ‘내년 1월 1일 이후’ 열릴 두 번째 정상회담을 반드시 성공시킬 것을 주문한 것이다.

사설
이제 우리 정부도 ‘김정은 연내 답방’에 매달리기보다는 보다 현실적인 시간표를 짤 때가 됐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최근 미국 방문 중에도 “남북이 합의한 사항”이라며 연내 이행을 강조했지만, 사실 9·19평양공동선언에는 ‘가까운 시일’이라고만 돼 있다. 여기에 문 대통령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이라고 기대를 담은 것이다. 북-미 관계 진전을 전제로 했던 것인 만큼 그에 차질이 있다면 ‘특별한 사정’일 수밖에 없다. 한반도를 둘러싼 시간표가 줄줄이 늦어지는 마당에 우리만 김정은 답방에 몸이 달 이유도, 실익도 없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