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커피 마시면 숙면 방해?”…‘이 사람’에겐 예외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5월 22일 12시 29분


코멘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노년 여성들의 경우 커피를 즐겨 마셔도 수면 장애·수면 부족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Vrije Universiteit) 건강과학과 마그릿 올토프 교수팀이 61∼101세 노인 1,256명(남 587명, 여 669명)을 대상으로 커피 섭취와 수면의 상관성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참여한 남성 노인의 수면 부족(하루 수면시간 7시간 미만) 비율은 17%로, 여성(26.3%)보다 적었다. 잠을 이루기 힘들거나 수면 유지에 어려움을 겪거나 아침에 너무 일찍 깨는 등 수면 장애 경험률은 여성(43.4%)이 남성(25.7%)보다 높았다. 하루 평균 카페인 섭취량은 남성(286㎎)이 여성(244㎎)보다 많았다.

아울러 카페인 미섭취 여성 노인은 카페인 섭취 여성 노인보다 수면 장애를 더 많이 경험했다.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은 여성은 카페인 섭취 여성보다 수면 부족 위험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노인 역시 카페인 섭취 노인이 수면 장애와 수면 부족 경험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카페인 섭취는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심혈관 질환·2형 당뇨병 위험 감소 등 건강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커피에는 클로로젠산·카페인 등 다양한 항산화·항암성분이 풍부해,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비만·우울증·만성 간 질환·심부전 발병 위험을 낮춰주는 이점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카페인은 수면 조절을 담당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를 줄여 수면을 방해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취침 약 6시간 전부터 카페인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권고한다.

이전까지 노인의 카페인 섭취와 수면 건강 사이의 관계를 추적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카페인 민감도는 개인 간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여기에 유전적 요인도 관여할 수 있다”며 “카페인 섭취를 피하는 여성 노인이 카페인을 섭취한 여성보다 더 많은 수면 장애와 수면 부족을 경험한다는 것이 우리 연구의 결론”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수면 장애를 경험한 여성 노인이 카페인의 자극 효과를 의식해 카페인 섭취를 의식적으로 피하거나 카페인 섭취 시기를 조정한 결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남녀 노인의 커피·차 카페인 섭취와 수면 건강 간의 연관성: 단면적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뉴트리언츠’(Nutrients) 최근 호에 게재됐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
#커피#캌페인#숙면#불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