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0대 이상 4명 중 1명 ‘황반변성’
나이 들어 찾아오는 눈 질환 중 하나는 ‘황반변성’이다. 심하면 실명에도 이를 수 있는 질병으로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노안으로 착각하기 쉽다. 황반변성은 눈의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에 이상이 생기는 현상이다. 황반에는 대부분의 시세포가 모여 있고 물체의 상이 맺히는 곳이어서 조금만 문제가 생겨도 시력에 큰 영향을 끼친다. 최근 노인 인구가 늘면서 환자 수가 급증했는데 70대 이상 노인의 4명 중 1명꼴로 황반변성을 앓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반변성은 ‘노화’가 주원인이다. 황반색소는 25세에 최고치에 이르렀다 점점 줄어 기능이 떨어진다. 따라서 평소에 황반색소의 구성 성분인 루테인을 충분히 보충해 황반색소 밀도를 높여주면 망막과 황반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루테인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외부로부터 보충이 필요한 성분이다.
아스타잔틴, 망막 혈류 증가시켜 눈 피로 개선
노화로 인해 모양체 근육의 조절력이 떨어져 수축이 잘 안되면 가까운 곳의 사물을 볼 때 초점을 맞추기 힘들어져 글씨가 잘 안 보이고 눈은 피로해진다. 이처럼 노안이 왔다면 눈의 초점 조절 기능을 개선하는 물질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해양 미세조류의 일종인 헤마토코쿠스에서 추출한 기능성 원료 아스타잔틴의 인체시험 결과에 따르면 4주 섭취 후 눈의 조절 근육 수축 속도와 이완 속도가 각각 50.6%, 69.0% 빨라졌다. 또한 망막 모세혈관의 혈류량을 증가시켜 눈 혈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 눈의 피로를 개선하는 데도 효과적이다. 아스타잔틴은 눈 각막 세포의 안쪽과 바깥쪽에 모두 영양을 줄 수 있어 눈 건강에 탁월한 물질로 꼽힌다.
눈 건강을 위해서는 외출할 때 선글라스나 안경으로 자외선과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밝은 화면을 볼 땐 주변이 어둡지 않도록 간접 조명을 켜는 것이 좋다. TV는 2.5m 이상 떨어져 시청하고 눈이 건조하지 않도록 실내 습도는 60% 정도로 유지해야 한다.
무엇보다 황반변성은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중년 이후에는 1년에 1, 2회 반드시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여기에 루테인, 아스타잔틴 등 눈 건강에 필요한 원료를 섭취하면 눈 노화를 늦추고 눈 피로도 해소할 수 있다.
루테인-아스타잔틴 함유 300세트 한정 ‘1+1 행사’

권혁일 기자 moragoheyaj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