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30년주기 온난-냉각 반복…온실가스 온난화 반박

  • 입력 2000년 11월 1일 19시 08분


2010∼2020년 지구의 기온이 하강 곡선으로 접어들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는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라는 학계의 대세에 반기를 드는 주장으로 기후변화협약을 둘러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줄다리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상청 박정규(朴正圭)기후예측과장은 지난달 31일 열린 ‘21세기 한반도 기후’포럼에서 “1860년부터 현재까지 전세계 기온은 0.6도 가량 상승했으나 30년 정도를 주기로 온난기와 냉각기가 반복됐다”며 “1980년대부터 시작된 온난기가 마감되고 다시 기온이 내려갈 것에 대비하지 않으면 농작물 생육 피해 등을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최근 30년동안 겨울철 기온이 평균 0.5도 상승했다. 그러나 서울 0.9도, 경기 울산 대구 0.8도 등 대도시 주변의 기온이 상승해 도시화에 따른 녹지 파괴가 기온 상승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떠올랐다.

박과장은 급속한 산업화가 이루어진 직후인 1940∼70년대에도 냉각기가 존재했기 때문에 화석연료 사용 억제로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지구온난화에 대비하려는 선진국 주도의 기후변화협약은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반도의 예에서 보듯이 최근의 고온현상은 단순한 온실효과의 결과라기보다는 도시화에 따른 열섬효과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는 미국내 일부 지구냉각론자와 개발도상국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해석된다. 92년 시작된 기후변화협약은 97년 ‘교토의정서’에서 2008년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할 것에 합의하면서 준강제적 효력을 발휘했다. 미국 등 선진국은 의무 감축대상에서 제외된 개발도상국에 참여 압력을 넣고 있지만 중국 등은 “선진국은 개발이 끝났지만 우리는 이제 산업화가 시작”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박과장은 “지구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불확실성을 제쳐놓고 온실가스 감축을 유일한 대안으로 몰아가다가는 큰 경제적 손실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국은 교토의정서 의무 참여국가는 아니지만 세계 10위 온실가스 배출국이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인만큼 11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제6차 당사국 총회에서 의무 부담을 강요받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2018년부터 의무를 부담한다는 입장이나 시점이 앞당겨질 경우 산업계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오게 된다.

<김준석기자>kjs35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