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方炯南 기자」 작년말 정부는 잠수함사건 해결방안을 미국을 통해 북한과 논의하면서 북한으로부터 「4자회담에 참여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내려고 마지막까지 애썼다. 협상의 어떤 단계에서든 뭔가 새로운 요구조건을 내세우는 북한이 4자회담 설명회 참여만 약속, 4자회담 자체는 이런저런 이유로 회피할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분명한 합의가 없이 끝난 9일의 北―美(북―미)뉴욕접촉은 4자회담 참여대신 설명회 참여 약속을 끌어내는데 그친 작년말 협상의 부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의 유엔주재 한성렬공사는 이번 대미(對美)접촉에서 한국측이 쉽게 양보할 수 없는 △설명회 개최장소 △참석자 수준 △설명회와 북―미 준고위급회담의 성격에 대해 새로운 조건을 제시했다. 한공사는 설명회 참석자의 격을 실무수준으로 하고 설명회보다는 북―미 준고위급회담 기간을 길게 잡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외무부당국자가 전했다.
북한의 이런 태도는 남북한과 미국대표가 만나는 설명회를 마지못해 응하는 「통과의례」쯤으로 만들고 그 대신에 북―미준고위급회담에 힘을 기울이겠다는 의도인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한국과의 합의대로 △설명회는 제삼국 또는 뉴욕에서 △4자회담의 예비회담 성격으로 개최하며 △참석자는 차관보 또는 부차관보급이어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미국과의 접촉이라는 실리를 북한에 제공하면서 4자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밀고 당기는 협상이 불가피해졌다.
韓美(한미)양국은 설명회와 준고위급회담 참석자를 동일인으로 한다는 마지노선을 설정, 설명회의 격을 낮추려는 북한의 의도를 차단할 계획이지만 북한이 응할지는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