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현재 은행권 가계대출은 988조8000억 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00조5000억 원 증가했다. 200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2019년 연간 증가액(60조7000억 원)의 1.5배가 넘는다. 정부가 각종 대출 규제를 쏟아냈는데도 역대 최대 규모로 대출이 급증한 것이다.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등 기타대출은 266조 원으로 사상 최대인 32조4000억 원 불었다. 주택담보대출은 721조9000억 원으로 1년 새 68조3000억 원 늘었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년 동안 112조 원 늘어났다.
또 증시가 뜨겁게 달아오르면서 빚투에 나선 이들도 많았다. 신용대출은 지난해 6월부터 11월까지 매달 3조 원 넘게 급증했는데, 증시가 빠르게 회복한 기간과 겹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생계가 어려워진 취약계층 대출도 늘고 있다. 윤옥자 한은 시장총괄팀 과장은 “지난해 주택 매매가 많이 늘었고 주식 매수 자금, 생활자금 등 다양한 자금 수요가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지난해 12월만 놓고 보면 가계대출은 6조6000억 원 늘었다. 금융당국이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기타대출은 4000억 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전달 증가 폭(7조4000억 원)에 비해 크게 꺾였다. 하지만 집값 상승세가 계속돼 주택담보대출은 6조3000억 원 늘어 12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 폭을 나타냈다. 지난해 12월 말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 금통위원은 “2021년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전년보다 축소되더라도 예년에 비해선 큰 수준인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은 이날 “올해 1분기(1~3월) 중 상환 능력을 따져 대출심사를 하는 관행을 정착하기 위한 ‘가계부채 선진화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기준을 차주(빌리는 사람) 단위로 단계적으로 바꾸는 등 가계부채 연착륙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는 점이 우려된다”며 “과거 경제위기와 달리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선 가계부채 부실에 따른 위기가 닥칠 수 있다”고 했다.
박희창기자 ramblas@donga.com
[김순덕의 도발]안철수는 경선하지 않는다
교수가 된 탈북병 “총은 버려도 옷은 못벗는다 버텼죠”[주성하 기자의 북에서 온 이웃]
[김형석 칼럼]국민의 신뢰와 희망에 못미치는 야당
文 국정지지율 38% 2주째 최저치…모든 연령대서 “부동산정책 실패”
홍준표 “朴·MB는 희생양…사면 아닌 ‘석방’ 요구해야”
“제 강인함은 한국인 할머니가 남긴 유산이죠”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