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日환율전쟁 3대 관전 포인트

  • Array
  • 입력 2010년 9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①中위안화 방어 ‘버티기’서 ‘논리’로
②통화절상 타깃, 중국 다음엔 한국 향할 수도
③한은, 원화 강세에도 내달 금리 올릴지 촉각

최근 미국 중국 일본이 자국 통화가치 절상을 막기 위해 벌이는 환율전쟁이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무엇보다 중국의 전략이 180도 바뀌었다.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박에 대해 과거에는 막무가내로 “무조건 못한다”고 버티기만 했다면 이번에는 논리적이고 지능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환율전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 세 가지를 유의해서 봐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①중국이 ‘머리’로 승부하기 시작

중국의 대내외적 발언을 보면 미국의 위안화 절상 압박에 반박하는 구체적인 근거를 들고 나서고 있다. 대표적 근거는 미국 대중(對中) 무역적자의 원인에 대한 주장이다. 무역적자 심화는 미국이 주장하듯 위안화 저평가 탓이 아니라 외국 자본의 중국 투자 때문이라는 얘기다.

지만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팀장은 “중국은 자국 수출이 잘되는 이유가 위안화 때문이 아니라 외국 자본이 중국에 시설을 투자해 만들어낸 생산품을 밖으로 내보내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며 “별다른 논리 없이 대응했던 과거와는 대조적”이라고 말했다. 원자바오 중국 총리도 최근 미국을 방문해 “미국의 무역적자는 중국의 환율 때문이 아니라 미국의 투자와 저축 등 구조적인 문제 탓”이라며 미국의 주장을 반박했다.

또 다른 방어 논리는 미국의 대중 무역적자가 중국 요소가격의 비정상성에 있다는 점이다. 그간 중국 정부는 경제개발 전략상 임금, 땅값, 에너지 자원 가격을 낮게 유지한 편이다. 결국 위안화 절상에 대해 왈가왈부하지 말고 요소가격부터 정상화하고 보자는 얘기다. 중국 경제참고보는 최근 중국과 싱가포르의 경제학자들이 위안화 절상보다 임금 절상이 중국의 무역 불균형을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논리적 대응은 위안화 절상 시기를 좀 더 강고하고 오래 끌고 가겠다는 전략이다. 이만용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전략본부 연구위원은 “중국은 환율정책을 자주적, 점진적으로 이끌겠다는 원칙을 버리지 않을 것”이라며 “경제문제를 정치문제로 엮으면서 위안화 절상이 더 지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②통화절상 타깃은 한국?

중국의 ‘버티기’로 미국과 일본의 통화절상 압박 타깃은 한국 등 다른 국가로 향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는 22일 “일본중앙은행이 원화나 태국 밧화 등을 대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과 일본이 자국 통화가치 절상을 막기 위해 한국 국채 매입을 늘리면 달러가 많이 유입돼 원-달러 환율 하락(원화가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이미 원-달러 환율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2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보다 4.30원 떨어진 1142원에 마감했다. 외환시장 전문가들은 1140원 선이 곧 무너지며 연내 1100원대까지도 내려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원화 절상 기조 속에 외환당국이 시장에 개입할지도 관심사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주요 20개국(G20) 의장국을 맡은 만큼 개입에 나서기 힘들 것으로 전망했다. 박형중 우리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은 워낙 경기회복 속도가 빨랐고 G20 의장국으로서 책무가 있어 강하게 나서진 못할 것”이라며 “개입하더라도 구두 개입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③한은, 10월 기준금리 인상할까?

원화 강세 속에 10월 기준금리의 방향도 큰 관심사다. 금융통화위원회 의장인 김중수 한은 총재는 향후 인상 신호를 강하게 보내고 있다. 하지만 기준금리가 오르면 국내외 금리 차가 커져 해외 자본이 유입돼 원화가치가 상승(환율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신동석 삼성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당초 올해 안에 앞으로 금리 인상 횟수를 두 차례로 예상했으나 외환시장 변동에 따라 한 차례로 수정했다”며 “달러 약세 속에 금리 인상이 당장은 힘들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7월 기준금리가 올랐음에도 시장금리가 내려가는 점을 볼 때 10월 금리가 인상되더라도 외화 유입을 막을 순 없다는 의견도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이미 국내외 금리 차는 과거보다 줄어들었고 세계적으로 워낙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기준금리 인상과 무관하게 자본이 국내로 유입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은아 기자 ach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