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커스]유한킴벌리 경영 비결

  • 입력 2003년 10월 19일 17시 27분


코멘트
《“유한 킴벌리를 배우자.” 요즘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유한킴벌리의 경영 노하우를 배우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일본의 제지업체인 크레시아는 최근 회사의 기능 조직별로 100여명을 한국에 파견해

유한 킴벌리의 경영 노하우를 배우고 있다. 한 해 3000여명이 벤치마킹을 위해 이 회사를 찾는다.》

군포공장 근로자들이 직무교육을 받고 있다. 사진제공 유한킴벌리

세계적인 생활용품 회사인 킴벌리클라크와 유한양행이 합작한 이 회사는 현재 대전, 군포, 김천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종이기저귀, 생리대, 화장지, 미용티슈, 병원용품 등이 주요 생산품. 이 세 공장은 킴벌리클라크가 127개국에서 운영 중인 156개 공장 중 생산성에서 모두 1등이다.

▽유한킴벌리의 성적표=이 회사 대전공장의 시간당 생산량(기저귀)은 3만6200개. 이은욱 전무는 “자세한 데이터는 공개할 수는 없지만 한국 공장의 생산성은 멕시코, 아르헨티나, 체코는 물론 영국, 호주 등 선진국 공장보다 월등히 높다”고 밝혔다. 2등인 미국도 2만9900개에 불과하다. 품질 결함률도 미국 공장보다 낮다. 유야용품의 경우 미국 공장은 100만개 중 16.4개지만 대전공장은 3.6개, 군포공장은 3.5개에 불과하다. 여성용품은 미국이 100만개당 1.94개인데 비해 군포는 0.97, 대전은 0.48개.

안전사고율도 2001년부터 ‘0’으로 떨어졌고 작년에는 직원 한명이 계단에서 발을 헛디뎌 3주간 입원한 것이 전부. 올해는 다시 무재해(無災害)를 이어가고 있다.

이 회사 생산성 비결을 연구한 강원대 경영학부 정규석 교수의 분석으로는 유한 킴벌리는 경쟁업체에 비해 노동생산성이 4배, 설비생산성이 6배 이상 높다.

▽육체 근로자는 없다=문국현 사장은 생산성 향상의 비밀을 “회사가 현장 근로자 스스로 육체근로자에서 지식근로자로 전환하도록 자극하고 지원한 덕분”이라고 말한다.

현장 근로자의 연간 교육시간은 약 300시간. 대학생이 연간 600시간 교육받는 것을 감안하면 이 회사가 교육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다.

교육시간의 60%를 차지하는 직무교육은 각종 기계 사용법과 작동 원리, 회사 경영현황, 컴퓨터, 안전 및 품질교육, 팀 워크숍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머지 40%인 교양 교육은 영어회화, 독서, 리더십, 음악 및 영화감상, 각종 봉사활동.

강사는 주제에 따라 외부 전문가가 초빙되거나 회사 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선다. 같은 조의 고참들이 후배들에게 노하우를 전수하는 시간도 많다.

근로자들은 이런 교육을 통해 사무직급처럼 숙련도와 입사연도에 따라 신입-기원-기선-기사-지도기사-선임기사-수석기사-기성으로 승진한다. 수석기사가 되려면 평균 15년이 걸리며 기성은 사무직급 부장이상의 대우를 받는다.

“모든 근로자는 교육을 통해 공장 전체의 흐름을 알고 모든 기계를 다루고 정비할 줄 아는 다기능 보유자, 업무 프로세스를 스스로 개선할 수 있는 엔지니어, 회사의 재무제표를 볼 줄 알고 경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주인의식을 가진 직원으로 거듭난다.”(김광호 대전공장 공장장 겸 상무)

▽지식 근로자의 힘=이 회사 공장을 방문하면 팀별로 끊임없이 업무개선회의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작년 한해 군포공장에 있는 334명의 직원들이 생산성 향상을 위해 회사에 제안한 건수만 2690건. 이중 85.3%가 채택돼 공장설비나 업무 방식이 바뀌었다.

“미국 공장은 현장 근로자는 마치 부품처럼 맡은 업무만 하고 업무 시스템 개선은 대학교육이상을 받은 엔지니어들이 전담한다. 그러나 우리는 기계를 직접 다루고 현장을 가장 잘 아는 근로자들이 스스로 업무를 개선한다.”(송명식 군포공장 공장장 겸 상무)

해외 공장에서는 기계가 고장 나면 정비팀이 와서 고친다. 그러나 유한 킴벌리는 큰 고장을 제외하고는 현장 근로자가 직접 정비하거나 고친다. 기계가 멈춰 있는 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다. 근로자들이 공장 전체의 흐름을 알기 때문에 결원이 발생해도 언제든지 대체가 가능하다.

영어 및 인터넷 교육을 받은 근로자들은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면 인터넷으로 해외 사이트를 뒤져 아이디어를 얻는다.

“과거에는 현장 근로자가 공장 전체 흐름을 알려면 어깨너머로 배워서 10년 이상이 걸렸죠. 요즘은 입사 2년이면 그 정도 지식을 배웁니다.”(조영근 기장·43)

▽근본은 신뢰=정 교수는 이런 교육 시스템이 가능한 이유를 신뢰와 윤리경영이라고 말한다.

문 사장이 1995년 취임이후 새로운 경영혁신을 끊임없이 도입할 때 직원들이 경영진을 믿고 따랐고 경영진은 또 정직하고 투명한 경영으로 약속을 지켰다. 생산성 향상의 과실도 약속대로 직원들에게 돌아갔다.

최영남 인사팀장은 “입사 10년차 현장 근로자가 작년에 수당을 포함해 5000만원을 받았다”고 밝혔다. 웬만한 대기업보다 나은 수준.

정 교수는 “최고의 선(善)을 통해 최고의 결과를 창출했다는 점에서 이 회사는 아름답고 위대한 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병기기자 ey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