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은감원 현장조사]『인력달려 대출감독 부실』변명

  • 입력 1997년 2월 11일 20시 17분


[이원재·최영묵 기자] 여야는 11일 당내 한보사태진상조사위를 가동, 은행감독원에 대한 현장조사단을 각각 보내 채권은행단의 불법대출묵인 및 부실감독, 대출관련 압력행사여부 등을 점검했다. 그러나 별다른 성과는 올리지 못했다. ○…이날 오전 은행감독원장실에서 진행된 신한국당 현장조사는 1시간반 동안 일문일답형식으로 진행됐다. 그러나 제일은행 등 한보대출관련 18개 은행에 대한 은감원의 특별검사가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시원스런 성과를 올리지는 못했다. 羅午淵(나오연)의원은 『은감원이 정기검사때 대출금유용 등 한보대출문제를 왜 발견하지 못했느냐』고 따졌으나 李秀烋(이수휴)은감원장은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일일이 가려내기가 어려웠으며 명백한 위법이 드러나지 않는 이상 사사건건 자금흐름을 추적하지 못했다』며 책임을 피했다. 金學元(김학원)의원이 한보부도처리를 하루 늦춘 이유를 묻자 은감원측은 鄭泰守(정태수)한보총회장에게 추가대출을 위한 주식담보제공을 요구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필요했다고 답변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한보사건합동조사위는 이날 오후 은행감독원을 대상으로 첫 현장조사활동을 벌였으나 예상대로 한보특혜의혹과 관련한 특별한 「혐의점」은 찾아내지 못했다. 이날 조사에서 趙舜衡(조순형) 李麟求(이인구)공동조사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국민들은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는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건국 이후 최대의 권력형 금융비리사건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정확한 답변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진행된 질의순서에서 10여명의 야당의원들은 △한보부도 결정과정에서의 은감원개입여부 △한보위기감지시점 △청와대 등의 특혜외압여부 △한보담보의 적정성여부 등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대해 이은감원장은 『부도결정에 개입한 적이 없다』고 잘라말하고 청와대외압에 대해서도 『경제수석과 업무상 협의는 한 적이 있지만 압력을 받은 적은 없다』고 밝혔다. 이원장은 또 『한보가 위험하다는 사실을 지난해 11월 감지한 뒤 12월에 종합적인 상황파악작업을 벌였다』고 답변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