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켄터키 옛집’은 지금 시점에서 보면 인종적 편견이 배어 있는 곡이기도 하다. 흑인을 비하하여 부르는 다키(darkie)라는 말 때문이다. 인종적 편견은 박태원의 번안곡 서두에서 더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켄터키 옛집에 햇빛 비치어 여름날 검둥이 시절.’ 검둥이라는 우리말은 다키보다 더하면 더했지 결코 덜하지 않은 차별적 언어다. 검은 개를 지칭하는 말이 흑인을 지칭하는 말로 전용된 탓이다.
포스터의 노래는 본디 인종차별적인 노래가 아니었다. 그는 노예 생활을 하는 흑인들에 대해 동정적이었다. 그래서 주인집으로부터 도망쳐 자유로운 몸이 되어 노예제 폐지 운동을 했던 흑인 작가 프레더릭 더글러스마저 이 노래를 알리고 다닐 정도였다. 그러나 다키라는 말이 노랫말에 들어간 것을 보면 포스터는 시대의 인종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했다. 그의 노래에 들어간 건 그 말만이 아니었다. ‘오, 수재너’에는 니거(nigger)라는 말이 들어갔다. 니거는 흑인 시인 랭스턴 휴스의 말대로 “흑인들에게는 황소에게 붉은 천을 들이미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말”이다.
왕은철 문학평론가·전북대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