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서울시가 정부서울청사에서 발표한 ‘서민 중산층 주거안정 지원 방안’은 민간의 전세 공급을 활성화하는 핵심 대책은 빠진 채 숫자를 채우기 위한 곁가지 대책들로 채워졌다.
정부는 단기적인 전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22년까지 전국에서 △기존 임대주택 공실 3만9100채 △오피스텔, 빌라 등 매입 4만4000채 △상가, 오피스, 호텔 리모델링(원룸에 해당) 1만3000채 △전세임대 1만8000채 등 11만4100채(서울 3만5300채)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세 문제는 거시경제 여건, 가구 분화, 매매시장 안정 조치 등 구조적 요인이 복합 작용한 결과”라며 새 임대차법 등 정책적 요인은 원인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현재 전세난이 실거주 의무 강화, 보유세 강화 등 매매시장 규제와 새 임대차법 시행으로 자연스러운 이주 수요를 시장이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수요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작정 빌라, 오피스텔, 원룸 형태의 전세 공급을 늘릴 경우 전세난은 해소하지도 못하면서 임대주택 공급 주체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부채만 늘려 공기업 부실을 키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모든 문제의 원인은 임대차 2법 등 정부 규제에 있는데 규제 부작용을 고치는 것은 외면해 전세대란을 얼마나 해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이대로는 전세대란 등 시장 불안을 해결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새샘 iamsam@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조윤경 기자
[단독]택시기사, ‘이용구 동영상’ 복구후 지인에 전송
이수정 “십수 년 민주당 지원, ‘그대로 가야하나’ 혼란 빠져”
대통령의 체중계는 괜찮은 걸까[오늘과 내일/박중현]
이성윤에 ‘피의자 출석’ 3번째 요구… 檢안팎 “기소 염두에 둔듯”
윤석열, 총장직 거는 건 與가 바라는일…檢, 중수청 앞 자멸할수도
진중권 “신현수도 친문이 잘라내는 것…文도 통제 못해”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