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명의 생명을 앗아간 성수대교 붕괴참사 이후 모든 한강다리에서 과적(過積)차량
단속을 시작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단속이 겉돌고 있다. 교량 입구에 단속초소를
설치했으나 단속이 형식적이거나 아예 단속원이 자리를 비우는 경우마저 있다고 한
다. 이런 식의 단속이라면 언제 또 대형 붕괴사고가 날지 걱정스럽다.
2년전에 있었던 성수대교 붕괴참사는 한국 건설기술의 약점을 치명적으로 드러냈
다. 작년에는 삼풍백화점 붕괴대참사까지 이어져 한국 건설업은 국제적으로 큰 망신
을 당했다. 한때 해외시장에서 한국건설업 기피현상이 확산되고 수주(受注)축소의
위기를 겪었다. 다행히 해외건설 수주량이 회복되기는 했으나 비슷한 사고가 또 난
다면 감당키 어려운 결과가 올지 모른다.
성수대교 붕괴참사는 우리 사회에 막대한 손해를 끼쳤다. 관련책임이 명백하게 가
려지지 않아 보상과 복구에 필요한 비용을 국민이 떠안게 된 것은 차치하고라도 막
대한 비용을 들여 건설한 교량을 2년이 넘게 사장(死藏)시킨 데서 오는 손해와 그간
의 교통혼잡 시민불편 등은 헤아리기조차 쉽지 않다.
성수대교 붕괴의 근본 원인은 설계 시공부실에 있다. 여기에 유지, 관리부실이 겹
쳐 성수대교는 붕괴했다. 이때 관리부실의 한 큰 항목으로 과적 화물차량이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때문에 한강다리에 단속초소를 서둘러 설치했으나 2년이 채 넘지 않
아 과적단속이 허술해지고 있다. 우리의 문제의식과 느슨한 행정에 더 큰 문제가 있
는게 분명하다.
화물적재량 32t이상인 과적화물차 한대가 다리에 미치는 피로도(疲勞度)는 승용차
7만대와 맞먹는다고 한다. 적정설계를 넘는 과적은 도로도 그만큼 빠르게 파손시킬
뿐 아니라 교통사고의 위험도 높다. 성수대교붕괴같은 대형 사고가 또 난다면 한국
의 국제적 체면과 신용은 끝장이다. 이제 다시 과적차량에 대한 위험의식을 갖고 단
속의무에 소홀했던 관계자의 엄중 문책과 과적단속의 효율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