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6일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상황실에서 열린 산불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3.26. myjs@newsis.com
경상권 산불 피해가 역대 최악 수준으로 커지자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6일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그는 산불의 주요 원인인 불법 소각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이를 위반하면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 권한대행은 이날 대국민 담화문을 통해 “21일 경남 산청군, 경북 의성군, 울산 울주군 등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이 경북 안동시,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등으로 번지며 역대 최악의 산불 기록을 갈아 쓰고 있다”며 “진화 과정에서 유명을 달리한 4명을 포함해 현재 총 18명이 목숨을 잃고 주민 2만3000여 명이 긴급 대피했다”고 말했다.
이어 “산불이 잡히지 않는 직접적인 이유는 간밤 내내 거센 바람이 강풍특보 수준으로 몰아쳤기 때문”이라며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은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며 올들어 총 244건의 산불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배 많은 수치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약 1만7000ha(헥타르) 이상의 산림이 불탔고, 주택과 공장 등 209곳이 파괴됐다.
한 권한대행은 “정부는 22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산불 경보 ‘심각’을 발령한 뒤 25일 이를 전국 모든 지역으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헬기 128대, 군인력 1144명, 소방인력 3135명, 진화대 1186명 등을 투입하고, 국가 소방동원령도 발령했다. 울산·경북·경남 지역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산청·울주·의성군과 경남 하동군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한 권한대행은 “이번 주 남은 기간 산불 진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국민 개개인의 부주의한 마음가짐도 달라져야겠지만 관련 기관들도 평소 과하다 싶을 만큼 산불 예방을 홍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근 10년간 발생한 산불의 71%는 입산자의 실수나 쓰레기 소각 같은 부주의로 발생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한 권한대행은 “산불의 주요 원인인 불법 소각 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이를 위반한 사람에 대해서는 관련 법령에 따라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어 “논두렁, 밭두렁을 태우거나 각종 쓰레기를 소각하지 말고 담배꽁초를 함부로 버리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산림이 한 번 훼손되면 원상 복구에 10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피해지역 주민들은 삶의 터전을 잃는다”며 “산불 예방을 위한 국민 여러분의 각별한 관심과 협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했다.
댓글 0